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출산율 4년만에 다시 하락, 고령인구 3년뒤 유소년인구 추월

저출산고령화 심각하게 진행중

작년 출산율이 2009년 이후 4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가 10일 발간한 '2014 보건복지통계연보'에 따르면 작년 한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1.19명이었다.

합계출산율은 2008년 1.19명에서 2009년 1.15명으로 떨어진 뒤에는 2010년 1.23명, 2011년 1.24명, 2012년 1.30명으로 증가 추세를 이어갔으나 작년에는 5년 전인 2008년 수준으로 다시 하락했다.

이는 인구 대체수준(한 국가의 인구 규모를 현상 유지하는 데 필요한 출산율)인 2.1명에 한참 못미치는 수치다.

보건복지부는 "출산율이 낮아진 것은 사회·경제적 환경과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것"이라며 "결혼 기피와 연기로 인한 결혼 연령 상승과 출산 기피현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출산율 하락은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서 두드러졌다. 25~30세의 인구 1천명당 출생아수는 65.9명으로 2012년 77.4명보다 11.5명이나 줄었다. 30~34세 역시 전년 121.9명보다 10.5명 줄어든 111.4명을 기록했다.

반면 노령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어서 작년 유소년인구(0~14세) 100명당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율인 노령화 지수는 10년 전인 2003년(41.3)보다 두배 가까이 상승한 83.3을 기록했다.

현재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2017년에는 노령화 지수가 104.1이 돼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가능인구 대비 노년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 역시 16.7로 10년 전(11.6)보다 5.1 상승했다.

작년 세상을 떠난 사람의 사망 원인으로는 악성신생물(암)이 단연 많았다. 인구 10만명당 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111.8명이었다.

2위와 3위는 각각 뇌혈관질환(52.8명)과 심장질환(50.4명)이었다. 2012년 조사에서 심장질환(52.5명)이 뇌혈관질환(51.1명)을 처음으로 앞질렀으나 작년 다시 순위가 바뀌었다.

당뇨병 사망자수는 21.8명으로 뒤를 이었으며 자살로 인한 사망자수는 다섯번째로 많은 17.3명이었다.

작년 사회복지 생활시설 종사자는 모두 10만2천488명으로 처음으로 10만명을 돌파했다.

종사자 1인당 시설 생활인원은 평균 1.9명이었으나 노숙인 시설은 7.4명, 정신질환자요양 시설은 5.6명씩을 한명의 종사자가 담당하고 있었다.

작년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6세미만 취학 전 아동의 수는 148만6천980명으로 4년 전인 2009년(117만5천49명)보다 26.5%늘었다.

보육교사는 21만2천332명으로 2009년(15만477명) 대비 41.1% 증가했다. 이는 보육시설 이용 아동 증가율보다 큰 것으로, 교사 1인당 아동수는 2009년 7.8명에서 2013년 7.0명으로 줄었다.
연합뉴스

댓글이 6 개 있습니다.

  • 2 0
    청와대진도개

    이게 다 새누리당 찍은 꼴통들 덕분이다..

  • 2 0
    망국

    이대로 가면
    기득권 개누리당이 통일하자고 덤벼들어

  • 0 0
    퍽킹 코리아~

    함부로 까지마라!
    그건 죄악이다!
    최소한도 대한민국에서~

  • 8 0
    세상이너무무서워서

    오너 말 한마디면 날으는 비행기도 빠꾸시키는 나라에서
    어찌어찌 운좋게 애들이 성공적으로 자라난다 해도
    그런 오너 밑에서 일하는 처절한 직장인 밖에 더 되겠냐 싶은
    생각이 스치면
    이건 뭐 답이 없는거다

  • 11 0
    ㅁㅇㅎ모ㅓㅏ

    어떤 미친놈이 자식 낳아 노예 만들겠냐?

  • 13 0
    요즘은애낳기겁난다

    뭐.. 비젼이 있나...
    집값이.. 싸길하나..
    니미럴.. 잘사는 놈들 뒷치닥거리 하다가..
    인생종치는 자식들 낳아놓으면 뭐하남...ㅆㅂ
    걍.. 무자식이 상팔자려니 하면서.. 살라고 권하고 싶다..
    니미럴 젓같은 나라.. ㅆㅂ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