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생산자물가 11.6% 폭등, "물가는 제2 IMF"
국제 원자재값 급등에 원-달러 환율 상승까지 가세
5월 생산자물가가 IMF사태 발발후 가장 높은 11.6%나 폭등하며 마침내 상승률이 두자릿 숫자를 기록했다. 물가만 놓고 본다면 '제2 IMF' 사태가 발발한 양상이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5월 생산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생산자물가 지수는 128.7(2000년 100)로 작년 같은 달의 115.3에 비해 11.6% 올랐다. 이는 지난 98년 10월의 11.7% 이후 9년7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생산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상승률은 작년에 2%대를 유지하다 10월 3.4%, 11월 4.4%, 12월 5.3% 등으로 상승했고 올들어서도 1월 5.9%, 2월 6.8%, 3월 8.0%, 4월 9.7% 등으로 급등세를 지속하다가 마침내 두자리 숫자를 돌파했다. 생산자물가가 이처럼 폭등한 것은 국제원자재값 급등에다가 원-달러 환율마저 폭등한 결과로 풀이된다. 정부의 잘못된 환율정책이 물가대란을 가중시킨 셈ㅇ리다.
분야별로는 공산품이 1년전에 비해 16.6% 뛰어 98년 4월의 17.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비스 물가 역시 4.6% 올라가면서 98년 11월의 5.7%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전력.수도.가스는 4.5% 상승했고 농림수산품은 1.2% 하락했다. 특히 에너지분야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30.3% 올라 98년 10월의 31.8%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개별 공산품의 전월대비 오름폭을 보면, 등유가 14.7% 올랐고 경유 10.3%, 나프타 16.2%, 제트유 11.1%, 벤젠 14.5%, 일반철근 10.6%, 니켈 17.3%, 흑철선 14.8% 등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연료가격이 뛰면서 외항화물운임이 전월에 비해 24.0% 올랐고 연안화물운임은 5.8%, 국제항공여객료는 3.1%의 비율로 각각 상승했다. 건축설계감리비는 3.4%, 공인회계사료는 1.7%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농림수산품에서는 쇠고기 파동 여파로 돼지고기가 전월보다 9.9%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5월 생산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생산자물가 지수는 128.7(2000년 100)로 작년 같은 달의 115.3에 비해 11.6% 올랐다. 이는 지난 98년 10월의 11.7% 이후 9년7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생산자물가는 전년 동월대비 상승률은 작년에 2%대를 유지하다 10월 3.4%, 11월 4.4%, 12월 5.3% 등으로 상승했고 올들어서도 1월 5.9%, 2월 6.8%, 3월 8.0%, 4월 9.7% 등으로 급등세를 지속하다가 마침내 두자리 숫자를 돌파했다. 생산자물가가 이처럼 폭등한 것은 국제원자재값 급등에다가 원-달러 환율마저 폭등한 결과로 풀이된다. 정부의 잘못된 환율정책이 물가대란을 가중시킨 셈ㅇ리다.
분야별로는 공산품이 1년전에 비해 16.6% 뛰어 98년 4월의 17.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비스 물가 역시 4.6% 올라가면서 98년 11월의 5.7%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전력.수도.가스는 4.5% 상승했고 농림수산품은 1.2% 하락했다. 특히 에너지분야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30.3% 올라 98년 10월의 31.8%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개별 공산품의 전월대비 오름폭을 보면, 등유가 14.7% 올랐고 경유 10.3%, 나프타 16.2%, 제트유 11.1%, 벤젠 14.5%, 일반철근 10.6%, 니켈 17.3%, 흑철선 14.8% 등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연료가격이 뛰면서 외항화물운임이 전월에 비해 24.0% 올랐고 연안화물운임은 5.8%, 국제항공여객료는 3.1%의 비율로 각각 상승했다. 건축설계감리비는 3.4%, 공인회계사료는 1.7%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농림수산품에서는 쇠고기 파동 여파로 돼지고기가 전월보다 9.9% 상승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