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경기 급랭, 'IMF사태 발발' 전과 흡사
소비자심리지수 19포인트나 급락, '불황 공포' 급속 확산
물가 폭등 등으로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경기가 급랭했다.
한국은행이 이달 2∼13일 전국 30개 도시의 2천374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25일 발표한 `2.4분기 소비자동향조사(CSI) 결과'에 따르면, 경제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86으로 전분기보다 19포인트나 폭락했다.
이같은 소비자심리지수는 2000년 4분기 86 이후 최저 수준이자, 특히 지수 하락 폭은 IMF사태가 발발하기 직전인 1997년 3분기(101)에서 4분기(77)로 24포인트 급락한 이래 최대 폭이다.
소비자심리지수는 4분기 연속 상승해 지난해 3분기 112를 기록한 이래, 작년 4분기 106, 올 1분기 105에 이어 2분기에는 100 미만으로 추락했다. 지수 100 미만은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나아졌다는 응답자보다 많다는 의미다.
소비자심리지수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 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합해 도출하는데, 모든 지수가 예외없이 크게 하락했다.
특히 현재경기단판 CSI는 전분기보다 26포인트나 곤두박질친 40, 향후경기전망 CSI는 44포인트 급락한 52를 기록해 향후 경제상황을 우려하는 시각이 급증했다.
이밖에 생활형편 CSI는 81에서 67로, 생활형편전망 CSI는 93에서 72로 떨어졌고, 가계수입전망 CSI와 소비지출전망 CSI도 전분기보다 각각 11포인트씩 하락한 87과 102를 나타냈다.
한편 물가수준전망 CSI과 금리수준 전망 CSI는 각각 11포인트와 10포인트 상승한 159와 117을 기록해 물가와 금리가 계속 오를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다.
"서민들이 느끼는 민생고는 IMF사태때보다 몇배나 심각하다"는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 주장이 과장만도 아님을 보여주는 수치다.
한국은행이 이달 2∼13일 전국 30개 도시의 2천374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25일 발표한 `2.4분기 소비자동향조사(CSI) 결과'에 따르면, 경제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86으로 전분기보다 19포인트나 폭락했다.
이같은 소비자심리지수는 2000년 4분기 86 이후 최저 수준이자, 특히 지수 하락 폭은 IMF사태가 발발하기 직전인 1997년 3분기(101)에서 4분기(77)로 24포인트 급락한 이래 최대 폭이다.
소비자심리지수는 4분기 연속 상승해 지난해 3분기 112를 기록한 이래, 작년 4분기 106, 올 1분기 105에 이어 2분기에는 100 미만으로 추락했다. 지수 100 미만은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나아졌다는 응답자보다 많다는 의미다.
소비자심리지수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 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합해 도출하는데, 모든 지수가 예외없이 크게 하락했다.
특히 현재경기단판 CSI는 전분기보다 26포인트나 곤두박질친 40, 향후경기전망 CSI는 44포인트 급락한 52를 기록해 향후 경제상황을 우려하는 시각이 급증했다.
이밖에 생활형편 CSI는 81에서 67로, 생활형편전망 CSI는 93에서 72로 떨어졌고, 가계수입전망 CSI와 소비지출전망 CSI도 전분기보다 각각 11포인트씩 하락한 87과 102를 나타냈다.
한편 물가수준전망 CSI과 금리수준 전망 CSI는 각각 11포인트와 10포인트 상승한 159와 117을 기록해 물가와 금리가 계속 오를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다.
"서민들이 느끼는 민생고는 IMF사태때보다 몇배나 심각하다"는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 주장이 과장만도 아님을 보여주는 수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