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18일 23시 57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서버 침해 정황을 신고했다고 19일 밝혔다.
회사측은 서버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KT는 통신사 해킹 사고 발생 이후 정확한 실태 점검을 위해 외부 보안전문 기업에 의뢰해 전사 서버를 대상으로 약 4개월간 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회사측은 향후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해 조속한 시일 내에 침해 서버를 확정하고 구체적 침해 내용과 원인 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KT는 그간 외국 해커의 해킹 주장을 강력 부인했으나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진상조사에 착수하자 뒤늦게 해킹 사실을 시인한 모양새다.
지난달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은 KT·LG유플러스를 사이버 공격한 집단을 재해킹한 화이트해커를 인용해 KT의 인증서(SSL 키), LG유플러스의 내부 서버 관리용 계정 권한 관리 시스템(APPM)의 소스 코드 등의 유출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해킹 조직은 북한 또는 중국 배후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KT와 LG유플러스는 해킹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그러나 무단 소액결제 사태 발발후 시민단체 YWCA는 해킹 의혹에 대한 조사를 요청했고, 이에 개인정보보호위는 지난 10일 KT와 LG유플러스의 이용자 정보 유출 의혹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