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는 이날 발표한 '최근 물가상승세의 원인 및 향후 전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수입물가와 환율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총수요 압력이 서서히 소멸된다는 가정하에 올해 연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4.1%, 근원물가 상승률은 3.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KDI는 지난해 10월 내놓은 올해 경제전망에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2.8%로 전망했었다.
KDI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수입물가와 실효환율이 각각 5%씩 추가로 급등하고 총수요 압력이 1% 내외로 지속될 경우, 올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4.6%에 이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KDI는 구체적으로 "통상 소비자물가의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입물가와 실효환율, 총수요 압력 등 3개 요인의 1999년 이후 분기별 자료를 이용, 회귀분석을 한 결과 최근 발생한 20% 내외의 수입물가 급등, 10% 내외의 실효환율 상승, 1% 내외의 총수요압력이 물가를 각각 0.8%포인트, 0.5%포인트, 0.15%포인트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KDI는 또 소비자물가에서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가 급등하는 배경과 관련해선, 수입물가 상승보다는 실효환율과 총수요 압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2006-2025 Views&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