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6일 “노동과 자본으로 발생되는 수입보다 토지 수입이 더 큰 사회경제 구조를 반드시 타파해야 한다”며 ‘지대 개혁’을 거듭 주장했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4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저는 '지대 추구의 덫을 걷어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1950년 농지개혁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상기시켰다.
그는 이어 “이승만 정부도 조봉암 장관 아래 농지개혁을 단행했다. 당시 65%에 달하는 소작농이 자작농으로 신분으로 상승했고 국민의 지지를 받았다”며 “농지개혁으로 발생된 국가적 에너지는 내 땅을 지키고 내 나라를 지킨다는 기운으로 이어졌고 온 국민이 하나 되어 목숨을 바쳐 나라를 지키는 주요 요인이 됐다. 1960년대, 70년대의 눈부신 경제 성장 기폭제가 되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아무리 좋은 제품을 만들어도, 팔고 싶어도 비싼 임대료를 버티기 어려운 게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처한 현실이다. 땀 흘려 일한 노동자들의 월급을 아무리 아껴도 내집 마련이 불가능하다"며 "1년 내내 농사를 지어도 소작료를 내고 나면 보리고개 넘기 어려웠던 시절과 마찬가지다. 어떤 양극화 해소를 위한 좋은 정책을 펼친다 한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대 추구의 덫에 빠져 나오는 데 성공한다면 그 에너지는 1960~70년대에 버금가는 또 한번의 경제 도약으로 이어지리라 확신한다”며 “민주당은 우리 경제에 드리워진 문제를 회피 말고 정면 돌파해야 한다. 지대 추구의 덫을 걷어 내고 진정한 양극화 해소 및 한국경제 제2도약이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거듭 지대 개혁을 촉구했다.
추 대표는 지대 개혁의 구체적 형태로 다주택자 보유세 중과, 임대소득 과세 등을 주장하고 있어 향후 정부의 수용 여부가 주목된다.
이에 대해 김경협 민주당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김성덕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부동산 보유세 문제에 대해 기획재정부에서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어떤 방식을 취할지는 조금 더 논의가 필요하다"면서도 "확실한 것은 높은 임대료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 경제도, 국민의 삶도 개선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시절 꼴 나지 않으려면 조심해야 한다. 친구네 집이 압구정동이었는데 매년 내야하는 세금이 1800만원이 넘더라. 이건 너무 심하다 싶었다. 한국사회에서 안정적인 재산으로 나 좀 부자다할 수 있는 기준은 집이 몇 채냐이다. 부동산 빼면 희망을 느낄 수 없는 사회다. 그렇다고 개혁을 안 할 수는 없으니 3채나 4채 이상 정도의 기준을 잡는게 바람직해 보인다.
100년 집권플랜 돌입했군요... 노동이 자본에 눌려 신음하는 세상... 즐기자 누구이며...(돈부자10%) 아픈자 누구일까...(가난자 60%) 전세/월세/임대료 걷어서 돈 놓고 돈 버는 자... 모두 중과세해서 노동과 자본이 함께 웃는 세상 만들어 주세요...추미애대표...화이팅!!!
엄청난 얘기를 추미애가 하고있다. 너무 멋지다. 정책으로 입안되어 실행되기를 기대한다. 쉽지 않겠지만. 사실 땅값,건물값 상승은 세금으로 길내고,철도건설해서 이루어진 부분도 크다. 근데 그걸 모두 소유자가 혼자 향유하고 더하여 임대료까지 따박따박 올려받는다. 자유주의시장경제의 개념을 바꿔야한다.
추미애 상년아. 양의 탈을 쓰고 세치 혓바닥 놀리며 뒷구녕으로 호박씨 까고 재산 축적한, 청와대 이중인격자들 부터 손을 보고 씨부려라. 실제 재산 100 억이 넘는 장하성, 50억 넘는 조국, 부동산 몇 채씩 챙긴 인간들이 지금 문재인이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추미애.. 인간아.. 니들 그리해선 또 5년 뒤에 이명박 같은 놈들한테 개피 본다.
이 부분에는 자칫 오해의 소지가 있다. 과거 농지제도의 개혁으로부터 시작해서 오늘의 부동산 투기 과열 사회까지 왔다. 사유재산이 중시되는 자본주의 국가서 자칫 국가가 국민들의 재산을 과도하게 침해해서 국유화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라면 아파트 분양원가를 공개하고 다주택자 2주택 이상부터 보유수에 따라 가산 보유세 중과시키는 법을 보완 규제하면 될 일이다
추미애가 역시 정확하게 보고 있다. 현재의 양극화와 서민경제 붕괴의 두가지 원인은 주택과 교육에 퍼붓는 과도한 비용에 있다. 주택을 구입하느라 은행빚을 얻고, 벌어들이는 수입으로 은행 이자와 임대료, 자녀 학원 보내는데 쓰고 있으니 소비할 여력이 없는거다. 지대 개혁과 함께 교육 개혁을 함께 한다면 민주당은 100년 집권의 길을 여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