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민생은 없고 개헌 시나리오만 넘쳐”
“진정한 개헌은 사회경제민주화 내용 담아야”
민주노동당 심상정 의원은 10일 노무현 대통령의 개헌 제안과 관련 “실패한 대통령이 책임을 제도 탓으로 돌리는 것은 비겁한 행위”라며 원포인트 개헌안을 단호히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원포인트 개헌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되어있다는 대통령의 발언과는 달리 개헌에 대한 최소한의 국민적 합의는 물론, 정당정치내에 진지한 논의과정도 없었다”며 대통령 제안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심 의원은 “보수 정치권은 개헌에 대한 이해득실 계산에 분주하고 원포인트 개헌을 둘러싸고 이른바 정계개편 시나리오가 넘쳐나고 있다”며 “개헌은 벌써부터 실정으로 심판받은 여권을 들뜨게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심 의원은 “노무현 집권 낸 누적된 실정의 핵심원인은 대통령과 집권여당의 무능과 개혁 부재에 있지 대통령 단임제 때문이 아니다”라며 “실패한 대통령이 책임을 제도 탓으로 돌리는 것은 비겁한 행위”라고 질타했다. 이어 심 의원은 “참여정부는 헌법 때문에 실패한 것이 아니라 서민을 위한 정치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라며 “대통령은 ‘국민으로부터 인증받지 않은 정치밖 정치’로 나라를 흔들려는 시도를 그만둬야 한다”고 말했다.
심 의원은 “개헌을 통해 우리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기 위해서는 의료, 교육, 주거에 대한 사회적 권리를 명문화하고, 토지주택공개념, 독과점규제, 소비자주권 등 경제민주화 규정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수구 보수의 독과점 정치구조를 깨는 독일식정당명부 비례대표제를 비롯해 결선 투표제, 대통령 중임제 등 권력구조의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 의원은 “진정한 의미의 개헌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폭넓은 참여에 기초한 사회적 논의가 필수적일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민주화를 진전시키는 사회운동적 힘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이것을 만들어내는 일이야 말로 올바른 개헌의 요체이며, 이는 민주노동당의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심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원포인트 개헌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되어있다는 대통령의 발언과는 달리 개헌에 대한 최소한의 국민적 합의는 물론, 정당정치내에 진지한 논의과정도 없었다”며 대통령 제안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심 의원은 “보수 정치권은 개헌에 대한 이해득실 계산에 분주하고 원포인트 개헌을 둘러싸고 이른바 정계개편 시나리오가 넘쳐나고 있다”며 “개헌은 벌써부터 실정으로 심판받은 여권을 들뜨게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심 의원은 “노무현 집권 낸 누적된 실정의 핵심원인은 대통령과 집권여당의 무능과 개혁 부재에 있지 대통령 단임제 때문이 아니다”라며 “실패한 대통령이 책임을 제도 탓으로 돌리는 것은 비겁한 행위”라고 질타했다. 이어 심 의원은 “참여정부는 헌법 때문에 실패한 것이 아니라 서민을 위한 정치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한 것”이라며 “대통령은 ‘국민으로부터 인증받지 않은 정치밖 정치’로 나라를 흔들려는 시도를 그만둬야 한다”고 말했다.
심 의원은 “개헌을 통해 우리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기 위해서는 의료, 교육, 주거에 대한 사회적 권리를 명문화하고, 토지주택공개념, 독과점규제, 소비자주권 등 경제민주화 규정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수구 보수의 독과점 정치구조를 깨는 독일식정당명부 비례대표제를 비롯해 결선 투표제, 대통령 중임제 등 권력구조의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 의원은 “진정한 의미의 개헌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폭넓은 참여에 기초한 사회적 논의가 필수적일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민주화를 진전시키는 사회운동적 힘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이것을 만들어내는 일이야 말로 올바른 개헌의 요체이며, 이는 민주노동당의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