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 3.2%→3.0%
이주열 "중국 금융불안이 글로벌금융시장에 충격 줘"
한국은행이 14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2%에서 3.0%로 낮췄다.
지난해 10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3%에서 3.2%로 0.1%포인트 낮춘 데 이어 석달 만에 다시 0.2%포인트 내린 것으로, 인사청문회에서 "추경 없이도 3.1% 성장이 가능하다"고 호언했던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을 머쓱하게 만드는 하향조치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동결한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하향 조정 이유에 대해 "중국의 외환시장 불안과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주가가 상당 폭으로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특히 금년 들어 중국의 금융불안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며 주요인을 중국발 글로벌위기에서 찾았다.
하지만 한은의 추가 전망치는 아직도 국내외 대다수 기관의 전망보다 낙관적이어서 추가로 하향조정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2.5%, 한국경제연구원은 2.6%, 현대경제연구원은 2.8% 등 대다수 국내연구소는 2%대를 전망하고 있고, 해외투자은행 6곳 평균치도 2.6%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10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3%에서 3.2%로 0.1%포인트 낮춘 데 이어 석달 만에 다시 0.2%포인트 내린 것으로, 인사청문회에서 "추경 없이도 3.1% 성장이 가능하다"고 호언했던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을 머쓱하게 만드는 하향조치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동결한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하향 조정 이유에 대해 "중국의 외환시장 불안과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주가가 상당 폭으로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특히 금년 들어 중국의 금융불안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며 주요인을 중국발 글로벌위기에서 찾았다.
하지만 한은의 추가 전망치는 아직도 국내외 대다수 기관의 전망보다 낙관적이어서 추가로 하향조정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2.5%, 한국경제연구원은 2.6%, 현대경제연구원은 2.8% 등 대다수 국내연구소는 2%대를 전망하고 있고, 해외투자은행 6곳 평균치도 2.6%에 그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