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김현종 “미국 의회 요구해도 재협상 없어”

"혁명적 농업대책 나오도록 대통령 설득하겠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4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문에 대해 미국 의회에서 재협상을 요구하더라도 재협상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날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한미FTA 재협상 가능성과 관련, “재협상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미측에) 강하게 얘기했다. FTA는 일단 타결이 되면 재협상은 원칙적으로 없다”면서 “그 정도로 위험한 부분이 있다면 타결이 안 됐을 것이며, 소위 기조는 흔들리지 않는 선에서 타결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이 장악하고 있는 미 의회가 노동분야에 대해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나 그 부분은 아직도 미 행정부와 의회가 합의를 못 봤다”며 “우리는 2일 협상을 끝내면서 그 부분에 대해 협상할 생각이 없음을 강하게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농업분야의 피해와 농민들의 반발과 관련, “농업분야에 대한 ‘혁명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국회의 지적에 1백% 동감한다. 나와 주무부처장인 박홍수 농림부장관이 나서 혁명적 농업대책이 나오도록 대통령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쌀도 예외로 하고 돼지고기나 오렌지 등 민감품목은 (시장개방) 이행기간을 최대 15년으로 하고 세이프가드도 도입했다”고 강변했다.

그는 개성공단의 역외가공 인정 문제와 관련 “양국 공무원으로 구성된 ‘한반도역외가공지역위원회’를 만들기로 했는데 이것은 (개성공단에 대해) 역외가공이라는 개념을 인정한 것”이라며 “다만 적용할 때 언제, 무슨 조건으로, 지역이 어디인지 이렇게 3가지만 결정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협상 시한이 계속 늦춰진 데 대해 “미국측이 미국의회의 행정적 통고시한이 필요해 31일 새벽 1시까지 해야한다는 입장을 표명해서 그렇게 설정했으나, 휴일인 토요일에 미국에 아무도 없다는 점에서 월요일로 판단했고 이를 감안할 것을 협상팀에 지시했다”고 해명하며 “목요일 밤 자동차 분야에서 미국이 양보를 하지 않는 등 상황이 좋지않아 못끝나는 것 알고 협상이 결렬될 것으로 우려했지만 두 정상간 전화통화를 통해 결국 협상이 성사됐다”고 말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