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한나라 과소평가 말라. 달라지고 있다"
열린당 분당 원인 놓고는 박상천과 설전
김대중 전 대통령이 4일 한나라당의 변신 움직임에 높은 점수를 주며 범여권 후보단일화를 재차 주문했다.
DJ "연말 대선, 단일 후보로 가야"
김 전 대통령은 이날 동교동 자택에서 박상천 신임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의 예방을 받은 자리에서 "한나라당을 과소평가할 수 없다. 상당히 반성하는 것 같고 대북정책도 달라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 전대통령은 이어 "단일정당이 최선이고, 안되면 단일후보로 가야 한다. 각당의 원외위원장 문제도 있으니 해보다 안되면 단일후보로 가는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노무현, 정몽준도 단일후보로 갔으니 (16대 대선에서) 이겼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 대표는 "당내 원외 위원장들이 열린우리당과의 통합에 강하게 반대를 하고 있다. 민주당 분당 때의 앙금이 지금도 남아있다"며 "열린우리당과는 후보단일화를 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분당 원인 놓고 DJ-박상천 설전, 민주당 변신 예고
그러나 민주당 분당의 원인을 놓고는 양측이 설전을 벌여, 박 대표 선출후 달라질 민주당의 향배를 예고하기도 했다. 박 대표는 한화갑 등 동교동계 및 호남의원들의 전폭적 지지를 받은 장상 전대표를 3일 당 대표 경선에서 이긴 바 있다.
김 전 대통령은 민주당 분당의 원인과 관련, "열린우리당이 민주당을 깨고 나간 것은 국민의 소리에 역행한 것이다. 또 민주당도 `나가려면 빨리 나가라'고 했기 때문에 일부 책임이 있다"고 양측 모두의 책임을 지적했다.
그러나 분당 당시 민주당 사수파였던 박 대표는 이에 대해 "아니다. 나가라고 한 적이 없다"며 "(열린우리당 창당세력이) 하도 `나간다 나간다'고 하니까 민주당의 오래된 당원들이 감정상 한 말이다. 누가 현직 대통령더러 나가라고 했겠느냐"고 반박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에 "아니다. 신문에서 많이 봤다. 누가 봐도 열린우리당의 책임이 크고 민주당도 일부 책임이 있다는 뜻"이라고 반박했다.
이같은 DJ와 박 대표간 설전은 향후 김홍업 전략공천 문제 등을 놓고 양측이 또다시 갈등할 가능성을 남겨놓은 것으로 해석돼 귀추가 주목된다.
DJ "연말 대선, 단일 후보로 가야"
김 전 대통령은 이날 동교동 자택에서 박상천 신임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의 예방을 받은 자리에서 "한나라당을 과소평가할 수 없다. 상당히 반성하는 것 같고 대북정책도 달라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 전대통령은 이어 "단일정당이 최선이고, 안되면 단일후보로 가야 한다. 각당의 원외위원장 문제도 있으니 해보다 안되면 단일후보로 가는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노무현, 정몽준도 단일후보로 갔으니 (16대 대선에서) 이겼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 대표는 "당내 원외 위원장들이 열린우리당과의 통합에 강하게 반대를 하고 있다. 민주당 분당 때의 앙금이 지금도 남아있다"며 "열린우리당과는 후보단일화를 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분당 원인 놓고 DJ-박상천 설전, 민주당 변신 예고
그러나 민주당 분당의 원인을 놓고는 양측이 설전을 벌여, 박 대표 선출후 달라질 민주당의 향배를 예고하기도 했다. 박 대표는 한화갑 등 동교동계 및 호남의원들의 전폭적 지지를 받은 장상 전대표를 3일 당 대표 경선에서 이긴 바 있다.
김 전 대통령은 민주당 분당의 원인과 관련, "열린우리당이 민주당을 깨고 나간 것은 국민의 소리에 역행한 것이다. 또 민주당도 `나가려면 빨리 나가라'고 했기 때문에 일부 책임이 있다"고 양측 모두의 책임을 지적했다.
그러나 분당 당시 민주당 사수파였던 박 대표는 이에 대해 "아니다. 나가라고 한 적이 없다"며 "(열린우리당 창당세력이) 하도 `나간다 나간다'고 하니까 민주당의 오래된 당원들이 감정상 한 말이다. 누가 현직 대통령더러 나가라고 했겠느냐"고 반박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에 "아니다. 신문에서 많이 봤다. 누가 봐도 열린우리당의 책임이 크고 민주당도 일부 책임이 있다는 뜻"이라고 반박했다.
이같은 DJ와 박 대표간 설전은 향후 김홍업 전략공천 문제 등을 놓고 양측이 또다시 갈등할 가능성을 남겨놓은 것으로 해석돼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