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을 "한나라 당론 아직 FTA 찬성 아니다"
"세부적 피해조사-대책수립 후 비준동의 결정"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가장 적극적이던 한나라당이 한미 FTA에 반대하는 권오을 의원을 '한미 FTA 피해조사 및 대책 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임명했다.
권 위원장 등 특위위원들은 5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준비모임을 갖고 "세부적인 피해조사와 그에 따른 대책수립이 우선이고 비준 찬반은 그 이후에 결정토록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권오을 위원장은 회의가 끝난 후 국회 기자회견장을 찾아 "한나라당의 당론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음에도, 언론에 일방적으로 한나라당이 찬성입장으로 비쳐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방송 토론회에서 개인의 찬성입장을 당의 공식입장으로 표현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농업 및 보건분야 등 피해 산업분야와 피해계층을 대변하고 그 이익을 지키기 위한 주장은 지극히 당연함에도 마치 쇄국주의 행동으로 오인되는 것은 시정돼야 한다"며 "협상안이 체결됐음에도 피해분야에 대한 정부의 조사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지 못할 만큼 미흡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특위 위원으로는 홍문표(농해수위 간사), 최구식(문광위 간사), 주성영(법사위 간사), 안홍준(환노위 간사) 의원 등 주요 상임위 간사위원들과 피해조사와 대책수립에 참여코자 하는 33명의 의원들로 구성됐다.
이들은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문제점과 피해분야에 대해 철저한 현장위주의 실사를 벌인 후 향후 한나라당 당론 결정에 반영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의 한미 FTA 피해조사 및 대책 특위가 구성됐는데, 앞으로 특위는 현장을 다니면서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며 "선(先) 대책 후(後) 비준동의가 한나라당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권 위원장 등 특위위원들은 5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준비모임을 갖고 "세부적인 피해조사와 그에 따른 대책수립이 우선이고 비준 찬반은 그 이후에 결정토록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권오을 위원장은 회의가 끝난 후 국회 기자회견장을 찾아 "한나라당의 당론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음에도, 언론에 일방적으로 한나라당이 찬성입장으로 비쳐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방송 토론회에서 개인의 찬성입장을 당의 공식입장으로 표현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농업 및 보건분야 등 피해 산업분야와 피해계층을 대변하고 그 이익을 지키기 위한 주장은 지극히 당연함에도 마치 쇄국주의 행동으로 오인되는 것은 시정돼야 한다"며 "협상안이 체결됐음에도 피해분야에 대한 정부의 조사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지 못할 만큼 미흡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특위 위원으로는 홍문표(농해수위 간사), 최구식(문광위 간사), 주성영(법사위 간사), 안홍준(환노위 간사) 의원 등 주요 상임위 간사위원들과 피해조사와 대책수립에 참여코자 하는 33명의 의원들로 구성됐다.
이들은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문제점과 피해분야에 대해 철저한 현장위주의 실사를 벌인 후 향후 한나라당 당론 결정에 반영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의 한미 FTA 피해조사 및 대책 특위가 구성됐는데, 앞으로 특위는 현장을 다니면서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며 "선(先) 대책 후(後) 비준동의가 한나라당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