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박근혜측 "이명박과 차이 3.2%p 불과"

자체조사 발표 "대의원에선 11.7%p 앞서", 기존언론 불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측이 자체 여론조사결과 이명박 전 서울시장측과의 지지율 격차가 3.2%포인트에 불과하며, 한나라당 대의원에서는 11.7%포인트나 앞서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앞서 야후-갤럽 여론조사 파문때 기존 여론조사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낸 데 이은 또 한차례의 기존 여론조사 및 기존언론에 대한 불신감 표출이다.

박근혜 캠프 자체조사, "이명박과 격차 3.2%p에 불과"

박 전 대표측은 9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ARS로 전국 유권자 2천7백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오차범위 95%, 신뢰구간 ±1.86%)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박 캠프측 발표에 따르면, ‘대통령으로 지지하는 후보’로 응답자의 32.4%가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29.2%가 박근혜 전 한나라당을 꼽아 양자간 격차는 3.2%p에 불과했다.

다음으로는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7.9%),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4.1%),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4.1%),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2.4%), 모름(19.9%) 순이었다.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로 지지하는 후보’라는 항목에는 이명박(42.4%), 박근혜(33.6%), 원희룡(3.6%), 고진화(2.1%), 모름(18.3%) 순으로 나왔다.

박근혜 캠프가 자체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재차 기존 언론에 대한 불신감을 드러냈다. ⓒ연합뉴스


"한나라당 대의원 상대로는 박근혜가 11.7%p 앞서"

반면 2006년 7월 현재 등록된 한나라당 전당대회 대의원 9천3백명의 명단을 전수조사해 지난 7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1천4백5명의 휴대전화 유효응답을 통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통령으로 지지하는 후보’로 박 전 대표가 51.5%, 이 전 시장은 39.8%로 박 전 대표가 이 전 시장보다 11.7%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손학규(3.3%), 김근태(1.1%), 정동영(0.6%), 정운찬(0.5%), 모름(3.3%) 순이었다.

또한 이들을 상대로 당 후보로 적합한 인물을 꼽은 결과 응답자의 52.4%가 박근혜를, 41.6%가 이명박을 꼽아 박 전 대표가 이 전 시장보다 10.8%p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원희룡(1.6%), 고진화(1.5%), 모름(2.9%) 순이었다.

"여론조사시 후보 이름 앞에 정당을 명기하지 않으면 인기투표에 불과"

박 캠프측은 “이번 여론조사는 최근 언론사와 여론조사기관의 공동조사가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인기투표식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형태로 실시한 것”이라며 “즉 기존 여론조사에서 ‘다음 후보 중 누가 대통령감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으로 적합한 후보가 다음 중 누구입니까?’, ‘다음 중 누구를 대통령으로 선호하십니까?’ 등으로 질문해 인기투표식 여론조사에 그치고 있는 문제점을 시정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특히 유권자들의 정당 중심 투표 성향을 고려해 열린우리당 김근태, 한나라당 박근혜, 한나라당 이명박, 열린우리당 정동영, 통합신당 정운찬 등 예상후보들의 소속정당을 넣어 질문하는 방법을 채택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박 캠프측은 “기존 여론조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할당표집조사방법과 면접원으로 인한 조사의 불확실성, 특정 시간대에 실시되는 면접조사로 인한 응답자의 특정 계층 쏠림 현상 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박 캠프내 여론조사 특별보좌관을 맡고있는 김준철 박사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한국 사람들의 투표행태를 연구한 전문가들이 한결같이 지적하는 것은 국민들은 정당 중심의 투표성향을 보여왔다는 것”이라며 “그러나 지금 실시되고 있는 언론사-여론조사 기관의 여론조사들은 항상 설문지에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라고 명기해 한나라당이라는 이름을 빼 버린다”고 지적했다. 그는 “따라서 이번 자체 설문조사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바로 후보 이름앞에 정당을 붙여 국민들에게 후보자가 어느 정당 소속인 점을 인식하게 했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이번 여론조사는 1천2백만 전화 데이터베이스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2만 5천명중 응답한 2천7백명을 집계에 넣었다”며 “특히 일반적인 여론조사는 저녁시간에 주로 이뤄지거나 오전에 하는 등 일정시간에 설문조사를 집중하기 때문에 특정 시간대에 전화를 받는 특정 계층의 쏠림 현상이 결과에 반영될 수 있는 반면 이번 여론조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하루종일 실시했기에 특정 시간대와 특정 계층을 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이번 발표가 캠프 내부의 자체조사라는 것을 들어 일각에서는 ‘여론조사가 뒤지니까 저런다’고 비판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까지 언론에서 발표되고 있는 여론조사가 인기투표식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조사를 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동현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