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추미애, 민주당 독자경선 기류에 당혹감

박상천-조순형 등과 최악의 관계

대선 출마를 선언한 추미애 전 민주당의원이 23일 곤혹스런 진퇴양난의 궁지에 처했다. 조순형 의원의 대선출마로 통합민주당 중심의 경선 구도가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추 전의원은 2004년 탄핵 직후 탄핵 책임을 박상천, 조순형 의원 등에게 돌렸던 까닭에 이들과 사이가 최악의 상태다.

추 전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음식점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열린우리당은 분당에 대한 반성과 사과, 해체에 나서는 것이 순리일 것”이라며 “통합민주당 역시 대통합이 위기에 처했다고 독자 후보론을 꺼내든다면 분열을 고착화 시키는 우를 범하게 된다”고 양측을 싸잡아 비판했다.

그는 우선 열린우리당에 대해 “포장지를 바꾸는 식, 책임모면을 위해 불쏘시개를 찾아 개별 의원들이 찾아다니는 것은 잘못됐다. 국민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서라면 분열의 주체가 과오에 대해 해체 선언을 함으로써 물꼬를 터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진실이 바탕이 돼야 화해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통합민주당에 대해서도 “민심을 수용해야 당이 발전하는 것인데 이런 식의 방어적 태도는 결국 한나라당의 반사이익만 높여주는 것”이라고 당 지도부에 대해 대통합 노력을 촉구한 뒤 “당이 자꾸 고슴도치처럼 방어적 입장으로 움츠러들어서는 안 된다. 민주당의 적통을 대표해 추미애가 앞장서겠다”고 주장했다.

그는 “순리대로 안 풀기 때문에 결국은 독자론까지 나오는 상황으로 치닫게 됐다"며 “대통합으로 가더라도 민주당이 중심세력이 될 자신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선 직전의 후보단일화에 대해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의 단일화의 경우 극적인 사건이며 이례적이고 이변이었기 때문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며 “정치세력간의 갈등을 반복하면서 단일화를 이뤘을 때 공감대 형성은 없을 것이다. 시너지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부정적 전망을 했다.

그는 자신의 불가 주장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독자적인 방법을 통해 당내 경선을 치를 경우 참여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정치는 결론을 먼저 내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해 지향하는 것이므로 당원들과의 꾸준히 접촉을 통해 설득시키는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먼저 입장을 정해놓는 것은 옳지 않다”며 즉답을 피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