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건설업-숙박음식업 취업자 모두 감소
7월 취업자 증가 5개월래 최저. 20대 '쉬었음' 역대 최다
13일 통계청의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902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1천명 늘었다.
5월(24만5천명), 6월(18만3천명)보다 두달 연속 줄어든 수치이자, 지난 2월(13만6천명) 이후 최저치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가 7만8천명 줄며, 작년 7월 이후 1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건설업 취업자 또한 9만2천명 줄어서 15개월째 감소했다.
내수를 보여주는 숙박음식업 취업자도 7만1천명 감소하며 3개월 연속 줄었다. 특히 감소 폭이 코로나19 와중이던 지난 2021년 11월(-8만6천명) 이후 3년8개월 만에 가장 컸다.
농림어업 역시 12만7천명 줄었다. 4월 한파·냉해, 7월 폭염·폭우 등 이상 기후 영향으로 4개월 연속 10만명대 '마이너스'다.
반면에 정부의 고령층 일자리 공급으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6만3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9만1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4만2천명)과 30대(9만3천명)에서는 취업자가 늘고, 20대(-13만5천명)에서는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 이어졌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5만8천명 감소했다.
고용률은 63.4%로, 작년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7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다만 15∼29세의 청년층 고용률은 0.7%p 하락하면서 45.8%를 기록했다.
실업자는 72만6천명으로 작년보다 1만1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2.4%였다. 1999년 관련 통계 기준 조사 이래 7월 기준 가장 낮은 수준이다.
비경제활동 인구 가운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6만9천명 증가했다.
특히 20대 '쉬었음'은 42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5천명 늘었다.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로 7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기업들의 신규채용 기피로 안정적 일자리 공급이 끊기면서 20대가 직격탄을 맞는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