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범여 대선후보 경선룰 '2차 합의사항' 발표

2002년과 달리 선거인단 신청시 전원 투표 참여 가능

2002년과 달리 선거인단 신청 시 전원 투표에 참여하고, 모바일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참여토록 하는 등 각 진영 대리인회의를 통해 다듬어온 범여권 대선주자 '경선 룰'이 윤곽을 드러냈다. 그러나 대선주자간 이해득실이 달라 일부 항목에서는 신경전이 펼쳐지는 등 향후 진통이 예상된다

'국민경선추진협의회'(국경추)는 31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진행해온 각 진영 대리인 회의에서 의견을 모은 '2차 합의사항'을 발표했다.

이번 경선에서는 1백90만명의 일반 국민 선거인단을 모집, 이중 3만5천명 가량(반영비율 약 50%)을 무작위 추출했던 2002년 때와 달리 선거인단으로 신청하기만 하면 전원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대규모 참여를 위해 모바일, 문서, 전화, 팩스, 인터넷 등 다양한 채널을 열어두기로 했으며 실명인증시스템도 도입된다.

신규 당원의 경우 입당원서에 경선 참여 의사를 기재토록 했고 열린우리당 출신 등 승계당원에 대해선 일일이 참여의사를 확인토록 했다. 당원의 경우 개인의사와 상관없이 무작위 추첨했던 2002년 때와 달리 참여의사 확인절차를 의무화한 것은 친노 주자나 조직력이 강한 진영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는 손학규 전 경지지사 등 일부 진영의 우려를 반영했다.

또 지역별 순회경선 일정에 맞춰 선거인단을 단계적으로 모집할 수 있는 순차모집 방식이 성사될 경우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기로 했다. 성별, 연령대, 계층별 가중치도 인정되지 않는다. 2002년의 경우 인구비례를 감안, 지역별 선거인단 규모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가중치가 반영됐었다.

투표방식은 1인1표제 전자투표로 결정됐으며 과반수 여부와 상관없이 최다득표자가 후보로 확정돼, 1인당 1∼4순위의 후보까지 적어내는 '선호투표제'가 도입됐던 2002년에 비해 일부 후보간 '합종연횡'이 어려워질 전망이다.

국경추는 대통합신당 창당일인 다음달 5일부터 선거인단 모집 작업에 착수, 다음달 중으로 `컷오프'(예비경선)를 통해 5∼8명의 후보를 추린 뒤 9월15일부터 약 한달간의 본선 일정을 거쳐 10월 중순 후보를 확정할 계획이다. 본경선 전에 5대 광역시에서 5회 이상 정책토론회도 실시키로 했다.

그러나 여론조사 반영, 모바일 투표, 선관위 위탁 여부 등 주자간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핵심쟁점에 대해서는 합의도출에 실패, 대통합신당 창준위 산하 국민경선본부에서 다음달 3일 이전까지 발표키로 했다.

여론조사에 대해서는 손 전 지사측만 강하게 주장하고 있어 실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모바일 투표는 두자릿수 반영률로 부분 도입될 가능성이 크고, 컷오프는 5∼6명 선으로 압축되는 방안이 유력한 상황이다.

이목희 국경추 대표는 "선거인단 모집절차 간소화 등을 통해 명실상부한 국민경선 취지를 살리는데 주력했다"며 "대부분 쟁점에서 의견절충이 이뤄졌으나 서로 연계돼 있는 부분이 있어 일부 쟁점은 추가 조율을 거치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추후 쟁점 논의 과정에서 주자간 신경전이 예상되는데다 이날 발표된 내용을 놓고도 일부 진영이 반발하고 있어 향후 진통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 김혁규 의원측은 성명을 내고 "당원의 뜻이 무시되는 방식은 정당정치의 근간을 흔들고 당원 존재를 부정하는 처사로, 예비경선은 '당원 70% 여론조사 30%', 본경선은 '당원 30% 비당원 70%'로 반영해야 한다"며 "지역별 인구편차를 반영해야 선거인단 쏠림을 막고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반발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