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선거일에도 일하는데 투표를 어떻게 하라고"

유급휴일 아니기 때문에 취약계층 참정권 보장 못해

지방선거를 하루 앞둔 상황에서 각종 조사에 의하면 이번 지방선거는 사상 최저의 투표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같은 현실에도 불구, 선거일에 쉬지 않는 회사가 많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쇄도하고 있다.

아이디 '선거 못해요'는 30일 중선관위 참여마당에서 "저는 대우자동차 비정규직에 근무하는데 아침 8시까지 출근해서 저녁 8시에 퇴근해야 한다"며 "도대체 선거는 언제 하라는 것인가. 비정규직은 선거권도 없나"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아이디 '나도 한마디' 역시 "투표일을 법정 공휴일로 지정해 투표율을 높이고자 힘쓰고 있는데 이익을 챙기겠다고 회사에서 나오라니..."라며 "직원들이 무슨 힘이 있나"라고 한탄했고, 아이디 '장현우'도 "우리 회사는 정상적으로 오전 8시 30분에 출근해서 6시 30분까지 근무하라고 한다"며 "우리 회사처럼 투표를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 자연히 투표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비꼬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쉬지 못해 투표를 하지 못한다는 하소연이 줄을 잇고 있다.(중선관위 홈페이지 캡쳐)


이처럼 선거일에도 근무해야 하는 회사가 상당수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선거일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됐기 때문에 유급휴일이 아니다. 이 때문에 건설현장이 일용직 근로자나 비정규직 근로자 등은 참정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민주노총 건설산업연맹은 지난 23일 기자회견에서 "노동부는 '선거 등 공민권 행사를 위해 정부가 임시공휴일로 정하여 선포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관공서가 휴무하는 날로서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에 특별한 규정이 없다면 당연히 휴일로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해석하고 있다"며 "노동부의 유권해석대로만 한다면 임시공휴일에도 쉴 수 있는 관공서 공무원들과 단협에 보장을 받은 대기업 정규직 노동자들은 1등 국민으로서 투표권이 있고, 비정규직, 임시직, 건설일용직 노동자들은 3등 국민으로서 사실상 투표권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라고 강하게 비판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중선관위와 각종 조사에 의하면 이번 선거는 지난 2002년의 48.9%보다 낮은 40%대 초반의 저조한 투표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취약계층의 참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영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