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7월2일 하루동안 총파업"
"현대차 파업도 합법", 20~21일 촛불집회에 10만명 참가
노동계의 대정부 하투(夏鬪)가 본격화됐다. 민주노총은 17일 서울 영등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7월 2일 전면 총파업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민노총은 이에 앞서 우선 오는 20, 21일 광우병국민대책회의 주관하는 '48시간 국민비상행동'에 조합원 10만명을 동원하며 오는 2일 하루 전면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석행 위원장은 "국민의 건강권을 팔아먹고 아이들 교육을 사교육화시키고 영어 몰입 교육으로 호주머니를 털게 만들고 의료민영화로 서민들을 압박하는 이명박 정부를 용서할 수 없다"며 "7월을 노동자 항쟁의 달로 만들어 이명박 정부와 진검 승부를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또 "이명박 정부와 분명하게 선을 긋고 정부가 기조를 바꾸지 않는 한 임기 내내 투쟁을 벌일 것"이라며 "국민은 우리 편이다. 이명박 정부는 오늘 나온 지지율 12.1%의 의미를 고민하고 정신 차려야 한다"고 질타했다.
그는 "기업별 임금인상안을 갖고 파업을 하지 않는다는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우리는 대신 보건의료노조가 의료민영화 반대 파업, 공공분야 민영화 반대 투쟁 등 산별 파업의제에 동일한 이슈를 걸고 파업투쟁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7월 내내 산별노조 전방위적 파업
민주노총은 앞서 16일 마무리된 1차 총파업 찬반투표를 제적조합원 63만여명 중 27만명이 참여해 70.3%의 찬성으로 가결시켰다.
민주노총은 또 아직까지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하지 못한 물, 전기, 가스 등 공공사업 부문을 위해 투표 기간을 오는 29일까지 연장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노총은 7월2일 총파업에 이어 3~5일을 총력집중투쟁 기간으로 잡고 전 조합원 1박2일 상경투쟁을 감행할 예정이다. 또 5일 이후에는 금속연맹을 비롯한 각 산별노조 차원의 총파업 투쟁을 집중 지원하는 방식으로 7월 내내 대정부 릴레이 투쟁을 벌인다는 방침이다.
이 위원장, 노동부-한국노총에 쓴소리
한편 이석행 위원장은 민주노총의 총파업을 불법파업으로 규정한 노동부를 맹비난하며 '노동부 해체'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노동부는 민주노총의 파업 찬반 투표 자체가 불법이라고 말하는데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헌법에 보장된 노동쟁의권의 행사를 불법파업이라고 하지 않는다"며 "민주노총의 파업은 정당한 파업이며 정부가 불법이라고 한다면 법을 어겨서라도 깨고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노총에 대해서도 "한국노총 지도부는 광우병 쇠고기만 해도 이명박 대통령과 같이 미국에 다녀왔고 당시 위원장은 한국에서 노사문제가 생기면 발 벗고 말리겠다고 했다"며 "그럼 (한국노총 산하의) 건설기계노동자의 파업도 막고 우리 파업도 막아야 하지 않나"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한국노총의 산별 노동자들의 파업에는 적극 지지하고 함께하겠지만 노동조합이기를 포기한 한국노총과는 같이 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현대차 파업도 합법"
그는 또 현대차 노조 투표 결과와 관련, "단위 사업장에서 찬반 투표가 끝날 무렵에 노동부는 가상집계를 통해 투표가 부결됐다고 떠들고 다녔다"며 "노동부가 오죽 답답했으면 언론에 대고 그랬을까 싶지만 이런 노동부가 있는 나라에 사는 국민들만 답답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현대차 노조지부가 지난 13일 실시된 민주노총의 ?파업 찬반투표에 소속 조합원 3만8천637명이 참가해 가운데 과반이 넘는2만1천618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그러나 일부 언론들은 이날 현대차 지부의 실제 조합원수인 4만4,566명을 기준으로 보면 찬성률이 48.5%로 과반에 미달된다며 '사실상 부결'이라고 보도했다.
이 위원장은 이에 대해 "(부결 보도는) 산별노조를 잘 모르고 말하는 것"이라며 "현대자동차가 임금단체협상 투표를 한 것이 아니고 현대차도 민주노총 산하 2천700개 단위 중 하나에 불과하다. 선거구 하나가 충족 조건을 갖추지 못하면 파업이 성립되지 않는 건가"라고 되물었다.
현대차 지부는 금속노조 산하 단위사업장이어서 노조 규약상 금속노조의 총파업 투표가 가결되면 여기에 참여하게된다. 허영구 부위원장은 "현대자동차는 금속노조의 지부고 현재 금속노조의 투표 결과 14만명 가운데 8만명이 찬성했다"며 "현대자동차의 찬성율이 45%라고 해서 불법이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반박했다.
민노총은 이에 앞서 우선 오는 20, 21일 광우병국민대책회의 주관하는 '48시간 국민비상행동'에 조합원 10만명을 동원하며 오는 2일 하루 전면 총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석행 위원장은 "국민의 건강권을 팔아먹고 아이들 교육을 사교육화시키고 영어 몰입 교육으로 호주머니를 털게 만들고 의료민영화로 서민들을 압박하는 이명박 정부를 용서할 수 없다"며 "7월을 노동자 항쟁의 달로 만들어 이명박 정부와 진검 승부를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또 "이명박 정부와 분명하게 선을 긋고 정부가 기조를 바꾸지 않는 한 임기 내내 투쟁을 벌일 것"이라며 "국민은 우리 편이다. 이명박 정부는 오늘 나온 지지율 12.1%의 의미를 고민하고 정신 차려야 한다"고 질타했다.
그는 "기업별 임금인상안을 갖고 파업을 하지 않는다는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우리는 대신 보건의료노조가 의료민영화 반대 파업, 공공분야 민영화 반대 투쟁 등 산별 파업의제에 동일한 이슈를 걸고 파업투쟁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7월 내내 산별노조 전방위적 파업
민주노총은 앞서 16일 마무리된 1차 총파업 찬반투표를 제적조합원 63만여명 중 27만명이 참여해 70.3%의 찬성으로 가결시켰다.
민주노총은 또 아직까지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하지 못한 물, 전기, 가스 등 공공사업 부문을 위해 투표 기간을 오는 29일까지 연장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노총은 7월2일 총파업에 이어 3~5일을 총력집중투쟁 기간으로 잡고 전 조합원 1박2일 상경투쟁을 감행할 예정이다. 또 5일 이후에는 금속연맹을 비롯한 각 산별노조 차원의 총파업 투쟁을 집중 지원하는 방식으로 7월 내내 대정부 릴레이 투쟁을 벌인다는 방침이다.
이 위원장, 노동부-한국노총에 쓴소리
한편 이석행 위원장은 민주노총의 총파업을 불법파업으로 규정한 노동부를 맹비난하며 '노동부 해체'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노동부는 민주노총의 파업 찬반 투표 자체가 불법이라고 말하는데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헌법에 보장된 노동쟁의권의 행사를 불법파업이라고 하지 않는다"며 "민주노총의 파업은 정당한 파업이며 정부가 불법이라고 한다면 법을 어겨서라도 깨고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노총에 대해서도 "한국노총 지도부는 광우병 쇠고기만 해도 이명박 대통령과 같이 미국에 다녀왔고 당시 위원장은 한국에서 노사문제가 생기면 발 벗고 말리겠다고 했다"며 "그럼 (한국노총 산하의) 건설기계노동자의 파업도 막고 우리 파업도 막아야 하지 않나"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한국노총의 산별 노동자들의 파업에는 적극 지지하고 함께하겠지만 노동조합이기를 포기한 한국노총과는 같이 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현대차 파업도 합법"
그는 또 현대차 노조 투표 결과와 관련, "단위 사업장에서 찬반 투표가 끝날 무렵에 노동부는 가상집계를 통해 투표가 부결됐다고 떠들고 다녔다"며 "노동부가 오죽 답답했으면 언론에 대고 그랬을까 싶지만 이런 노동부가 있는 나라에 사는 국민들만 답답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현대차 노조지부가 지난 13일 실시된 민주노총의 ?파업 찬반투표에 소속 조합원 3만8천637명이 참가해 가운데 과반이 넘는2만1천618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그러나 일부 언론들은 이날 현대차 지부의 실제 조합원수인 4만4,566명을 기준으로 보면 찬성률이 48.5%로 과반에 미달된다며 '사실상 부결'이라고 보도했다.
이 위원장은 이에 대해 "(부결 보도는) 산별노조를 잘 모르고 말하는 것"이라며 "현대자동차가 임금단체협상 투표를 한 것이 아니고 현대차도 민주노총 산하 2천700개 단위 중 하나에 불과하다. 선거구 하나가 충족 조건을 갖추지 못하면 파업이 성립되지 않는 건가"라고 되물었다.
현대차 지부는 금속노조 산하 단위사업장이어서 노조 규약상 금속노조의 총파업 투표가 가결되면 여기에 참여하게된다. 허영구 부위원장은 "현대자동차는 금속노조의 지부고 현재 금속노조의 투표 결과 14만명 가운데 8만명이 찬성했다"며 "현대자동차의 찬성율이 45%라고 해서 불법이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