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盧때 군인공제회 이사장 전격 구속
수억대 배임수재 혐의, 주상복합 개발비리도 수사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박용석 검사장)는 19일 군인공제회 김승광(64) 전 이사장을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했다.
김씨는 2003∼2006년 군인공제회 이사장을 지냈다. 군인공제회의 전ㆍ현직 이사장이 구속되기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이사장은 지난 2004년 3월께 에너지절약 전문기업인 K사로부터 군인공제회의 자금투자 및 군 시설 내 소형 열병합 발전설비 수주를 도와달라는 청탁과 함께 모두 3만주의 차명주식을 건네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김 전 이사장이 이들 주식을 팔아 4억원 정도를 현금화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주식과 별도로 수 천만원을 받은 혐의도 조사 중이다.
자산이 7조8천억원에 달하는 군인공제회는 K사의 주식매입에 모두 54억원을 투자했었다.
검찰은 K사 회장을 김 전 이사장에게 소개시켜 준 공직자 출신 유명인사의 조사에 나서는 한편 K사가 한국중부발전 정모 전 사장을 비롯한 계약업체 관계자, 지식경제부 공무원 등 정.관계에 로비를 벌였는 지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이와 별도로 검찰은 지난 상반기 대구지검 특수부가 수사했던 수성구 D주상복합아파트 건설비리 사건 중 미제로 남았던 부분에 대한 단서가 포착돼 이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키로 했다.
대구지검은 지난 6월 회삿돈 300억여원을 빼돌리거나 임의로 사용한 혐의로 D주상복합아파트 건설시행사의 실질적 대표 박모(50)씨를 불구속 기소했는데 이 아파트 사업승인을 둘러싼 정.관계 로비의혹은 규명하지 못했다.
이 아파트 건설에는 군인공제회도 투자했으며 검찰은 박 대표가 김 전 이사장의 아들에게 거액을 제공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대가성 여부를 밝혀내지 못해 수사가 중단됐었다.
한편 지난해 감사원은 김 전 이사장 재임시절 군인공제회가 타당성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서울 구룡마을 개발사업과 종로구의 상가재분양사업에 투자해 수백억원의 손실을 초래했다고 지적한 바 았다.
최근에는 공제회가 경남 김해에 투자하는 사업과 관련해 특정 정치인이 개입했다는 설도 나돌았다.
김씨는 2003∼2006년 군인공제회 이사장을 지냈다. 군인공제회의 전ㆍ현직 이사장이 구속되기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이사장은 지난 2004년 3월께 에너지절약 전문기업인 K사로부터 군인공제회의 자금투자 및 군 시설 내 소형 열병합 발전설비 수주를 도와달라는 청탁과 함께 모두 3만주의 차명주식을 건네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김 전 이사장이 이들 주식을 팔아 4억원 정도를 현금화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주식과 별도로 수 천만원을 받은 혐의도 조사 중이다.
자산이 7조8천억원에 달하는 군인공제회는 K사의 주식매입에 모두 54억원을 투자했었다.
검찰은 K사 회장을 김 전 이사장에게 소개시켜 준 공직자 출신 유명인사의 조사에 나서는 한편 K사가 한국중부발전 정모 전 사장을 비롯한 계약업체 관계자, 지식경제부 공무원 등 정.관계에 로비를 벌였는 지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이와 별도로 검찰은 지난 상반기 대구지검 특수부가 수사했던 수성구 D주상복합아파트 건설비리 사건 중 미제로 남았던 부분에 대한 단서가 포착돼 이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키로 했다.
대구지검은 지난 6월 회삿돈 300억여원을 빼돌리거나 임의로 사용한 혐의로 D주상복합아파트 건설시행사의 실질적 대표 박모(50)씨를 불구속 기소했는데 이 아파트 사업승인을 둘러싼 정.관계 로비의혹은 규명하지 못했다.
이 아파트 건설에는 군인공제회도 투자했으며 검찰은 박 대표가 김 전 이사장의 아들에게 거액을 제공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대가성 여부를 밝혀내지 못해 수사가 중단됐었다.
한편 지난해 감사원은 김 전 이사장 재임시절 군인공제회가 타당성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서울 구룡마을 개발사업과 종로구의 상가재분양사업에 투자해 수백억원의 손실을 초래했다고 지적한 바 았다.
최근에는 공제회가 경남 김해에 투자하는 사업과 관련해 특정 정치인이 개입했다는 설도 나돌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