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여야 합의문에 왜 '전효숙' 이름 빠졌나

한나라 "전효숙 자진사퇴 의미" vs 열린 "터무니없는 날조"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오는 30일 본회의 전까지 전효숙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에 대한 합의를 계속한다고 합의하면서 국회가 정상화됐지만, 일시적인 미봉책으로 구성된 '합의문'을 놓고 양당간 해석상 차이가 발생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김형오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지난 16일 양당 합의문 작성 후 가진 의원총회에서 "양당 원내대표간 합의문에 '전효숙'이라는 이름이 없다는 것에 주목하라"며 "“(김한길 원내대표와의) 약속 때문에 다 밝힐 수는 없지만 때때로 정치란 상상력을 발휘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요컨대 합의문은 노무현 대통령이 '지명철회' 판단을 내리거나 전효숙 후보자가 '자진사퇴'할 시간을 보름 정도 준 것이란 의미라는 주장인 셈이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열린우리당에서도 자진사퇴를 바라는 의원들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17일 오전 주요당직자회의에서도 "전효숙 파동은 지명철회나 자진사퇴만이 유일한 해법"이라며 "29일까지 원만한 해결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낙관하기도 했다.

반면에 열린우리당은 '억측'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노웅래 열린우리당 공보부대표는 지난 16일 국회 브리핑에서 "한나라당 주장은 닭 잡아 먹고 오리발 내밀어도 유분수다. 연세 있으신 분이 더욱이 제1야당의 원내대표가 합의를 해 놓고 다른 얘기를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경고를 분명히 한다. 이러시면 안 된다"고 김 원내대표를 맹비난했다.

노 공보부대표는 "헌재소장 후보자는 전효숙 후보 한 사람인데 이를 두고 행간의 뜻을 읽으라는 것은 장난치는 것"이라며 "이는 잘못된 것이고 합의자체를 부정하는 무책임한 발언으로 정치도의상 있을 수 없는 날조"라고 비난했다.

우상호 열린우리당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원래 여야 대표들이 합의를 하면 나름대로 해석을 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결국 한나라당과 마찬가지로 열린우리당 역시 기존 입장에서 한 발도 후퇴함 없이 29일까지 합의를 위해 노력한 후 오는 30일 본회의에서 임명동의안을 표결처리한다는 입장이어서 이달말 극한 대치가 또다시 재연될 전망이다.
이영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