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세월호 방송에도 컨트롤타워 필요"
"무분별한 보도로 피해자 고통 가중, 재난보도 준칙 준수해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정확한 보도로 국민들의 혼란을 방지하고 사고 수습에 도움을 줘야 할 언론들이 무분별한 속보경쟁으로 오보를 남발하고 확인되지 않은 루머를 보도하며 오히려 혼란을 키우고 있다"며 "참사로 인해 육체적, 심리적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는 피해자 가족들과 생존자들에 대해서도 무분별한 보도를 하면서 고통을 가중시키는 등 인권침해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로 인해 언론 전체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극에 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언론은 비정상이다'라는 극한 분노까지 일고 있다"며 "언론들은 잘못된 보도에 대해 사과하거나 국민에게 비판받은 문제들에 대해 자성하기도 하지만, 이번 세월호 참사 과정에서 드러난 우리 언론의 문제는 사과와 반성으로만 해결될 사안이 아님을 드러내고 있다"며 대안으로 피해 현황 통계, 수색과정 등 정확성이 필요한 사안이나 피해자, 가족 생존자에 대한 공동취재단 운영을 제시했다.
앞서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월 29일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 따라 ‘재난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의 실시에 관한 기준’을 제정해 고시한 바 있다. 고시는 KBS를 '재난방송 주관방송사'로 지정하고 KBS는 정부로부터 재해-재난 관련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또 주관방송사가 필요한 경우 다른 방송사업자와의 협의를 거쳐 공동취대단을 구성할 수 있도록 했으나, 이번 세월호 참사 보도에서는 이와 관련한 ‘공동취재단’은 구성되지 않았다.
최 의원은 "앞으로도 적지 않은 시간 동안 생존자 구조와 수색작업이 이뤄질 것이며, 인양과 사고원인에 대한 조사와 사법당국의 수사 등이 진행되어야 한다"먀 "지금이라도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인 KBS를 중심으로 방송들이라도 공동취재단을 구성해 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