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최경환 "유가하락으로 실질소득 30조 증대"

"디플레이션 우려 없어. 우리 경제엥 큰 호재"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국제유가 하락으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하락)이 발생할 우려는 크지 않다고 밝혔다.

국제유가 하락이 소득 증대로 이어진다면 오히려 수요가 살아나 디플레 압력이 낮아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디플레이션은 주로 수요 부족으로 발생하는데, 이번 국제유가 하락은 공급 요인에 의한 것"이라며 "수요 측면에 따른 디플레이션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유가 하락은 우리 경제에 큰 호재"라면서 "(저유가가) 실질소득 증대로 이어져 오히려 수요를 보강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국제유가 하락으로 디플레 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에 대한 반박으로 풀이된다.

최 부총리는 "5개 국책 연구기관이 전망한 대로 올해 국제유가가 배럴당 평균 63달러 수준을 유지한다면 약 30조원의 실질소득 증대 효과가 있고, 원유 수입 비용만 300억달러가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소개했다.

그는 "기업의 생산비 측면에서도 유가 하락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가 중국·일본보다 2배 큰 것으로 평가됐다"며 "수출과 투자에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제유가 하락을 전반적 제품가격 인하와 국내 소비 증가로 연결하는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제 회복을 견인하는 요인으로 저유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최 부총리는 "유가 하락이 적기에 가격에 반영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물가 구조를 개선하고 소비·투자 등 내수 활성화 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급격한 유가 하락으로 일어날 수 있는 금융시장의 불안정에 대해선 경각심을 갖고 대비하기로 했다.

이날 최 부총리는 정보기술(IT)·문화산업기술(CT)·바이오기술(BT) 등 혁신형 기업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첨단산업 입지공간을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기술금융을 더욱 확대하고 내실화하는 동시에 모험자본 육성, 벤처투자 확대 등을 통해 혁신형 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외국인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관광호텔, 시내면세점, 복합리조트 등 관광 인프라 투자가 활성화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7 개 있습니다.

  • 2 0
    나여 나

    그라제, 맹바기하구 그네하구 소득이 천문학적으로 증가했겠지...

  • 14 0
    그 주둥아리

    닥쳐라,,,
    실질소득 증대? 개뿔이나 ㅋㅋㅋㅋ그 30조 중에 내게 떨어지는것은 한푼도 없다.
    즉 대다수의 국민들 삶과는 관계 없다는 것이다
    대부분 상위 극소수의 재벌들에게나 이익이 돌아가면 몰라도
    개뿔도 모르면서 더 이상 국민들을 기만하지 말라

  • 8 0
    니기미

    어이 경화니!!!!! 내가 재졍부 장관해도 자네 보다는 훨 잘하겠네 그려!!!!

  • 2 0
    개소리왕왕

    역시 주어없음 420분녀가 뽑은 놈같게 멍멍이 소리를 지껄이는군요
    그 돈들은 대기업과 니들 뒷주머니에 들어가는 건 아는 사람은 다 안다!

  • 21 0
    새구라당

    4대강으로 몇백조효과,
    G20회의 개최로 50조 효과,
    원전퍼주기로 몇십조효과..
    그 많은 효과는 모두 어디로가고,,
    빚만 2000조이상이나 남았느뇨?

  • 18 0
    좋겟다

    그 돈이 서민 주머니로 가냐/
    대기업 곳간으로 가지.
    참 한심하기가 그지 없도다.

  • 14 0
    웃기네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가 160%인 상황에서 '수요 측면의 디플레이션'이 없다는 게 말이 되냐?
    쓸 돈이 있어야 돈을 쓰지? 돈이 없어 안 쓰는데 가격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지?
    상식도 없어요.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