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올 경제성장률 3.3%로 대폭 하향
추경 대신 추가 금리인하 선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의 3.8%에서 3.3%로 대폭 낮췄다.
최 부총리는 이날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차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방문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성장률과 관련, "연초에는 (작년보다) 나아질 것으로 봤는데 하방 리스크가 커지면서 작년 정도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성장률을 3.8%로 잡은 뒤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호언해온 정부가 작년 수준인 3.3%로 낮춰 잡았음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한국은행은 최 부총리보다 더 낮은 3.1%로 하향조정한 바 있다.
최 부총리는 그러면서도 "회복세가 미약하지만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경기가 개선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경기가 유동적이어서 회복세가 완전히 자리잡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는 추경예산 편성 등 추가 경기부양에 대해선 "현재 확장적 기조를 더 강화해야 할지, 아니면 유지하는 데 그쳐야 할지에 대한 판단은 경기흐름을 더 지켜보고 상반기 끝 무렵에 가서 하는 게 맞다고 본다"며 "정치적 부담에도 올해 예산을 이미 작년 대비 5.5%나 늘렸기 때문에 (예산을) 더 이상 늘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해, 내심 추경 대신 추가 금리인하를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기도 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차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방문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성장률과 관련, "연초에는 (작년보다) 나아질 것으로 봤는데 하방 리스크가 커지면서 작년 정도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성장률을 3.8%로 잡은 뒤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호언해온 정부가 작년 수준인 3.3%로 낮춰 잡았음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한국은행은 최 부총리보다 더 낮은 3.1%로 하향조정한 바 있다.
최 부총리는 그러면서도 "회복세가 미약하지만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경기가 개선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경기가 유동적이어서 회복세가 완전히 자리잡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는 추경예산 편성 등 추가 경기부양에 대해선 "현재 확장적 기조를 더 강화해야 할지, 아니면 유지하는 데 그쳐야 할지에 대한 판단은 경기흐름을 더 지켜보고 상반기 끝 무렵에 가서 하는 게 맞다고 본다"며 "정치적 부담에도 올해 예산을 이미 작년 대비 5.5%나 늘렸기 때문에 (예산을) 더 이상 늘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해, 내심 추경 대신 추가 금리인하를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