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만 민생', 국회 본회의도 못 열어
국회 주도권 다툼에 민생법안 '쿨쿨'
민생국회를 표방한 2월 임시국회가 각 정당간 이해관계로 23일 오후 2시로 예정돼 있던 본회의를 열지도 못했다. 또한 다음 본회의 일정조차 잡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전날인 22일 국회 풍경도 씁쓸했다. 국회 법사위는 의결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단 한 건의 법안도 본회의에 넘기지 못하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국회 파행의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하고 있다.
장영달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은 대통령 후보들 싸움에 말려들지 말고 민생국회에 전념해주실 것을 진심으로 당부한다"며 국회 파행의 책임을 후보검증 논란에 휩싸인 한나라당에게 돌렸다.
이에 대해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2월 국회 처음에는 우리 원내대표와 협상 창구도 없었고, 그 이후에 협상을 하자고 하면 계속 당내 행사로 핑계댔다"며 "그런데 이제 거꾸로 열린우리당이 한나라당이 검증싸움을 하는 바람에 민생이 떠내려 갈까봐 걱정한다니 정말 한심한 얘기"라고 반박했다. 강 대표는 이어 "노무현 대통령과 저와 만나서 한 합의사항을 우리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은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서 노력하는데 상대방들이 일일이 '그것은 대통령과 한 얘기이고' 이런 식으로 나오면서 무슨 민생이 한나라당 때문에 떠내려간다는 얘기인지 그런 터무니없는 자세는 버리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여야 갈등의 실제 핵심은 원내 다수당의 변화로 생긴 국회 주도권 다툼.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으로 여당이 없는 상황이 전개되자 여당이 갖고 있던 국회 운영위원장을 비롯한 각종 상임위원장을 다시 배분해야 한다는 주장이 한나라당으로부터 나오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건설교통위원회(위원장 조일현), 문화관광위원회(위원장 조배숙),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김태홍),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이강래) 등 탈당 의원들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상임위원장 중 전통적으로 여당 몫이었던 예결특위원장과 건교위원장 등을 가져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한나라당은 국회 의석수가 변동된 만큼 위원장 숫자를 재조정하고, 제1당의 위상에 맞게 운영위원장도 가져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열린우리당 탈당파인 통합신당모임 역시 상임위원장은 2년 임기를 보장받는 것이기 때문에 현행대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날인 22일 국회 풍경도 씁쓸했다. 국회 법사위는 의결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단 한 건의 법안도 본회의에 넘기지 못하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국회 파행의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하고 있다.
장영달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은 대통령 후보들 싸움에 말려들지 말고 민생국회에 전념해주실 것을 진심으로 당부한다"며 국회 파행의 책임을 후보검증 논란에 휩싸인 한나라당에게 돌렸다.
이에 대해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2월 국회 처음에는 우리 원내대표와 협상 창구도 없었고, 그 이후에 협상을 하자고 하면 계속 당내 행사로 핑계댔다"며 "그런데 이제 거꾸로 열린우리당이 한나라당이 검증싸움을 하는 바람에 민생이 떠내려 갈까봐 걱정한다니 정말 한심한 얘기"라고 반박했다. 강 대표는 이어 "노무현 대통령과 저와 만나서 한 합의사항을 우리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은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서 노력하는데 상대방들이 일일이 '그것은 대통령과 한 얘기이고' 이런 식으로 나오면서 무슨 민생이 한나라당 때문에 떠내려간다는 얘기인지 그런 터무니없는 자세는 버리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여야 갈등의 실제 핵심은 원내 다수당의 변화로 생긴 국회 주도권 다툼.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으로 여당이 없는 상황이 전개되자 여당이 갖고 있던 국회 운영위원장을 비롯한 각종 상임위원장을 다시 배분해야 한다는 주장이 한나라당으로부터 나오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건설교통위원회(위원장 조일현), 문화관광위원회(위원장 조배숙),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김태홍),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이강래) 등 탈당 의원들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상임위원장 중 전통적으로 여당 몫이었던 예결특위원장과 건교위원장 등을 가져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한나라당은 국회 의석수가 변동된 만큼 위원장 숫자를 재조정하고, 제1당의 위상에 맞게 운영위원장도 가져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열린우리당 탈당파인 통합신당모임 역시 상임위원장은 2년 임기를 보장받는 것이기 때문에 현행대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