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한-중FTA 비준동의안 합의 또 불발
27일 본회의 처리 여부도 불투명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위한 여야 협상이 25일 또 다시 결렬되면서 27일 본회의 처리가 불투명해졌다.
여야가 이날도 한중FTA체결로 인한 농축산분야 피해보전대책을 중심으로 한 쟁점사항에 대한 협상에 들어갔지만, 현격한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 최재천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의장, 박민수 농해수위 야당 간사,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회동에 들어갔다.
그러나 여당은 야당이 요구하고 있는 무역이득공유제 도입, 피해보전직불제 보전비율 인상, 농수산정책자금 금리 인하 등 보전대책에 각종 이유를 들어 난색을 표명함 평행선을 달렸다.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회동에서) FTA 피해보전에 대한 부분을 이야기해야 하지 않겠나"라며 "(그런데 야당은) 떡 본김에 고사지내는 방식 비슷하게, 모든 농수산분야 애로사항을 전부 해결하려고 '이것도 내놔라, 이것 해라, 저것 해라' 한다"며 힐난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중국 측은 우리 측이 하는 것을 보고 (FTA 절차를)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 매일 협상만 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늦어도 내일(26일)까지는 여야정협의체에서 답이 나와줘야 한다. 그래야 27일 본회의에서 처리를 할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최재천 새정치연합 정책위의장은 "시간이 문제라면 우리는 (비준을) 당장 한다. 그런데 이것이 시간의 문제가 아니지 않나"라며 "한중FTA가 없어서 지금까지 중국으로 수출을 못했고, 우리 경제가 이 모양 이 꼴인가"라며 맞받았다.
최 정책위의장은 "우리들은 대책을 만들어 놓고 비준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그런데 정부와 새누리당은 진실한 대책이 대단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여야는 26일 오전 중 정책위의장을 통해 접촉해서 한중FTA 여야정협의체 가동시한을 협의해 최대한 11월안에 처리한다는 방침이지만, 양측간 이견 차이가 쉽게 좁혀지기 어려운 상황이라 12월 국회로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됐다.
여야가 이날도 한중FTA체결로 인한 농축산분야 피해보전대책을 중심으로 한 쟁점사항에 대한 협상에 들어갔지만, 현격한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 최재천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의장, 박민수 농해수위 야당 간사,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회동에 들어갔다.
그러나 여당은 야당이 요구하고 있는 무역이득공유제 도입, 피해보전직불제 보전비율 인상, 농수산정책자금 금리 인하 등 보전대책에 각종 이유를 들어 난색을 표명함 평행선을 달렸다.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회동에서) FTA 피해보전에 대한 부분을 이야기해야 하지 않겠나"라며 "(그런데 야당은) 떡 본김에 고사지내는 방식 비슷하게, 모든 농수산분야 애로사항을 전부 해결하려고 '이것도 내놔라, 이것 해라, 저것 해라' 한다"며 힐난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중국 측은 우리 측이 하는 것을 보고 (FTA 절차를)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 매일 협상만 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늦어도 내일(26일)까지는 여야정협의체에서 답이 나와줘야 한다. 그래야 27일 본회의에서 처리를 할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최재천 새정치연합 정책위의장은 "시간이 문제라면 우리는 (비준을) 당장 한다. 그런데 이것이 시간의 문제가 아니지 않나"라며 "한중FTA가 없어서 지금까지 중국으로 수출을 못했고, 우리 경제가 이 모양 이 꼴인가"라며 맞받았다.
최 정책위의장은 "우리들은 대책을 만들어 놓고 비준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그런데 정부와 새누리당은 진실한 대책이 대단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여야는 26일 오전 중 정책위의장을 통해 접촉해서 한중FTA 여야정협의체 가동시한을 협의해 최대한 11월안에 처리한다는 방침이지만, 양측간 이견 차이가 쉽게 좁혀지기 어려운 상황이라 12월 국회로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