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던 이랜드, '알짜' 킴스클럽 매각키로
중국특수에 제동 걸리면서 차입금 상환 부담 커져
이랜드그룹은 30일 연간 1조원의 매출을 올려온 알짜계열사 킴스클럽을 매각한다고 밝혔다.
이랜드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대형할인점 부문은 연매출 1조원 수준의 흑자 사업이지만 '선택과 집중'이라는 대원칙에 따라 전략적 의사 결정을 하게 되었다"면서 "글로벌 유통사업과 글로벌 SPA(제조·유통 일괄형 상표) 확장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그룹 미래 청사진"이라고 밝혔다.
킴스클럽은 이랜드리테일이 운영 중인 NC백화점, 뉴코아아울렛, 2001아울렛, 동아백화점 등 51개 유통 점포 중 37개점에 입점해 있으며, 식료품과 공산품을 주로 판매하는 대형할인점이다.
그동안 중국 패션사업 특수를 기반으로 주력부문인 패션 외에 유통과 외식, 레저 등으로 공격적 M&A(기업 인수합병)를 통해 덩치를 키워온 이랜드가 알짜기업을 팔기로 한 것은 상환해야 할 단기외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등 유동성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그룹 성장의 원동력이었던 중국시장에서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어 그룹의 수익포트폴리오를 악화시킬 것이란 우려도 한몫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랜드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대형할인점 부문은 연매출 1조원 수준의 흑자 사업이지만 '선택과 집중'이라는 대원칙에 따라 전략적 의사 결정을 하게 되었다"면서 "글로벌 유통사업과 글로벌 SPA(제조·유통 일괄형 상표) 확장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그룹 미래 청사진"이라고 밝혔다.
킴스클럽은 이랜드리테일이 운영 중인 NC백화점, 뉴코아아울렛, 2001아울렛, 동아백화점 등 51개 유통 점포 중 37개점에 입점해 있으며, 식료품과 공산품을 주로 판매하는 대형할인점이다.
그동안 중국 패션사업 특수를 기반으로 주력부문인 패션 외에 유통과 외식, 레저 등으로 공격적 M&A(기업 인수합병)를 통해 덩치를 키워온 이랜드가 알짜기업을 팔기로 한 것은 상환해야 할 단기외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등 유동성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그룹 성장의 원동력이었던 중국시장에서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어 그룹의 수익포트폴리오를 악화시킬 것이란 우려도 한몫 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