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서해대교 화재원인 '낙뢰 가능성'에 기상청 "낙뢰 없었다"

서해대교 주탑 케이블 화재 원인 놓고 혼선

3일 오후 서해대교 주탑 교량 케이블에서 난 불이 '낙뢰일 가능성이 크다'는 전문가 의견이 모아지고 있지만, 정작 기상청은 이 시각 낙뢰가 없었다고 밝혀 화재 원인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도로공사, 소방본부 등은 4일 오전 충남 당진 서해대교 위에서 진행된 현장감식을 진행했다.

전날 오후 6시 10분께 충남 당진시 서해대교 목포 방향 2번 주탑 교량 케이블에서 불이 나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원에 의해 3시간 30분 만에 꺼졌다.

이 불로 끊어진 케이블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평택소방서 이병곤 포승안전센터장(54·소방경)을 덮쳐 이 소방경이 순직했다.

이날 진행된 현장 감식에서 관계당국은 화재로 끊어진 지름 280㎜의 케이블 단면과 불에 탄 모습을 토대로 화재 원인을 규명하는 데 주력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낙뢰를 맞아 불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찰과 같은 다른 원인으로 불이 났을 가능성은 작다는 분석이다.

현장에 참여한 교량 전문가도 낙뢰 외에 다른 가능성은 찾기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어 케이블이 오랫동안 불에 타면서 고온에 절단됐을 수 있다고 전했다.

국토부 측도 화재원인을 낙뢰로 추정하고 있다.

사고 당시 서해대교관리소 직원들이 여러 차례 천둥소리를 들었고, 지상 80m 높이에서 불이 시작됐다는 이유에서다.

도로공사 측은 서해대교에는 피뢰침이 4개가 달려 있지만, 낙뢰가 피뢰침이 아닌 강선에 맞아 화재가 났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기상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온 기상청은 '그 시각에 낙뢰는 없었다'는 것이 공식적인 입장이다.

기상청은 전국에 낙뢰 관측센터를 운영하면서 낙뢰 발생 여부를 24시간 지켜보고 있는데, 이날 오후 6시 이후 관측 장비에 낙뢰는 감지되지 않았다.

이 센서는 땅으로 내려오지 않고 구름 위에서 만들어지는 천둥과 번개까지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즉, 이 센서에 관측되지 않았다는 것은 서해대교로 내려온 것은 물론 구름 위에서도 낙뢰가 없었다는 의미다.

불이 난 때와 가장 가까운 시각, 위치에서 발생한 낙뢰는 오후 5시 50분께 경기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 도리도 인근 해상, 평택 북부와 화성 부근인데, 서해대교와는 거리가 다소 있다.

현장 전문가들과 기상청의 의견이 다름에 따라, 절단 케이블에 대한 감식과 분석 등을 통해 정확한 화재원인이 파악될 때까지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댓글이 8 개 있습니다.

  • 3 0
    닭전

    정은이가 간절히 원해서
    우주가 그런거다.

  • 1 0
    ㅎ흣

    그리고 그리스 놈들이 그런 사례가 있다면
    그리스 새퀴들이 과학적으로 명쾌하게 입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된 자료가 있는지 공개 하라고 해... 그리스에 그런 일이 있다고 언론 나오면... 그게 무슨 귀신 씨나락도 아니고...

    도로공사가 저리 카더라를 남발하고 국가기관들이 입맞추는 걸 볼 때, 관리부실이나 혹은 다른 이유를 감추기 위함 아닐까?

  • 5 0
    ㅎ흣

    뷰스도 이 기사를 실었었네

    야 ~ 낙뢰가 비전도체로 2중 3중 감싸고 있는데 어떻게 케이블에 직접 내려 친다는 이야기냐? 내리쳐도 근방 피뢰침이나 전도체나 바다에 떨어져야 전자기적으로 설명 가능한 것이지?

    무슨 유치원 애들도 아니고 ... ㅎㅎㅎ

  • 3 0
    벼락이 떨어지려면

    닥뱅기에 떨어질 일이지...우째 이런 일이....

  • 7 0
    돌도사

    원인을 왜 몰라 ~ ?
    있잔어 ~
    북쪽소행이라고하면되잔어 ~
    간단한걸 뭘 고민을해 ~ !
    잘써먹다가 딴소리는 . . . .

  • 6 0
    보나마나

    김정일 짓이군

  • 0 0
    이런?

    귀신이 곡할 노릇?

  • 2 0
    철제와이어에 어떻게 불이나는가?

    레이저 무기실험한것이 아닌이상..
    레이건시절 실현은 안됐지만..스타워즈계획으로 인공위성에서
    핵폭발 에너지를이용하여 엑스선레이저를 방출하여 핵탄두를
    파괴하는 계획이있었다. 그러나 중형 여객기크기에 탑재하는
    레이저무기는 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