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유례없는 속도로 빨라지면서 치매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치매 환자 가족들의 2차적 피해도 늘어가고 있다.
KB금융그룹은 치매에 대한 사회적 대책 마련을 위해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보건·복지·노인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드림팀(자문단)과 함께 민간 최초로 치매 예방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14년부터 운영된 치매예방 사업 「KB국민건강총명학교」는 인지기능·신체기능·사회성 강화 및 건강한 식습관 형성의 4대 영역별 치매예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네트워크 구축 및 자원연계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사업 첫해, 「KB국민건강총명학교」 참여 어르신 800명을 대상으로 강남대학교 박영란 교수(실버산업학부)와 홍승연 교수(실버산업학부)가 사전·사후검사를 통한 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KB국민건강총명학교」를 참여한 후 손, 두뇌, 규칙적 운동, 사회활동 영역에서 15~20% 활동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치매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치매 의심 수준에서 정상 수준으로 MMSE(치매선별용이간이검사) 평균점수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년에도 프로그램의 참여 어르신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어르신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치매인식도와 MMSE 영역에서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B국민건강총명학교」에서는 연간 500여명의 청소년 서포터즈들이 지역사회 내 치매예방 캠페인, 프로그램 보조, 말벗서비스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KB금융그룹에서는 「KB국민건강총명학교」 프로그램이 보편화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연구 및 체계화 작업을 추진하여 전국 노인복지관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치매센터, 보건소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 강화를 통하여 치매예방, 관리에 적극적으로 앞장설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본 사업의 자문위원인 박영란 교수(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부)는 “「KB국민건강총명학교」는 혁신적인 기업사회공헌 모델”이라며 “기업에서 이렇게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직접 지원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KB금융그룹에서 우리사회에 가장 심각한 노인문제의 하나인 ‘치매’를 예방하는데 지속적인 후원을 하는 것은 매우 뜻깊은 일”이라고 평가했다. 2015년 11월 27일 서울 강남구 KB아트홀에서 열린 KB금융그룹과 함께하는 치매 예방 프로그램 ‘KB국민건강 총명학교’ 수료식에서 노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