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빠른 아베, 트럼프와 통화. 朴대통령은?
아베-트럼프, 17일 뉴욕 회동도 추진. 외교부 "통화시간 협의중"
아베 총리는 통화에서 "공고한 미일 동맹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뒷받침하는 불가결한 존재"라고 강조했다고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관방부장관이 전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당선인은 "미일동맹을 평가한다"며 "미일관계는 탁월한 파트너십이다. 이 특별한 관계를 강화해 나가고 싶다"고 화답했다.
아베 총리는 또 경제·안보를 포함한 미일 외교의 기축이 미일동맹이라는 점을 설명하고 앞으로도 양국간 동맹을 강화해 나가자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 나아가 아베 총리와 트럼프 당선인은 오는 17일 미국 뉴욕에서 회담을 하는 쪽으로 조율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교도통신>은 전하기도 했다. 트럼프가 아베가 심혈을 기울여온 TPP협정 백지화, 주한미군주둔비 전액 일본부담 등을 대선공약으로 내걸자 발빠르게 트럼프 설득에 나선 모양새다.
앞서 아베 총리는 전날 트럼프 승리 확정 직후 직접 TV에 나와 축사를 발표하고 "보편적 가치로 연결된 미일동맹을 더욱 공고히 하고 싶다"고 적극적 러브콜을 던진 바 있다.
반면에 아직 박근혜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간 통화 여부도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에게 "트럼프 당선인 측과 통화 문제를 포함해 다른 문제들도 추진 중에 있고, 양측간에 서로 가능한 통화 시간대에 대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2008년 11월 5일 당선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이틀 뒤인 11월 7일 오전 첫 전화통화를 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오는 18~19일 APEC 정상회담에도 불참하기로 한 상태여서, 아베처럼 직접 미국으로 건너가 트럼프를 만날 가능성은 전무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