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의원 47명, 아베 日총리에 사과요구 서한발송

"日, 성노예 여성들에게 국가의 이름으로 사죄하고 배상해야"

채수찬 열린우리당 의원 등 국회의원 47명은 3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제에 의한 군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부인한데 대해 공개서한을 발송, 사과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인류사에 치욕적인 범죄"

채수찬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개서한에서 '아베 총리와 일본 정부가 일본군 성노예 동원의 강제성을 명확히 인정하지 않는다면 관련 당사국이 참여하는 공동조사단을 구성할 것이며 일본은 성노예 여성들에게 국가의 이름으로 사죄하고 배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밝혔다.

채 의원은 "총리와 일본 정부가 일본군 성노예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최근의 언행은 이와 관련한 일본군의 행위를 전쟁범죄로 규정하고 국가의 이름으로 사죄할 것을 촉구해 온 국제사회의 여론을 정면으로 거스른 것이고, 과거 ‘고노 담화’에서 성노예 동원의 강제성과 일본 정부의 책임을 인정했던 공식 입장을 뒤집는 잘못된 행동"이라며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인류역사에 특히 치욕적인 범죄"라고 일본의 행태를 맹비난했다.

그는 "과거의 잘못을 시인하고 반성하지 않고서는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국력에 걸 맞는 위상과 역할을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며 "만약 총리와 일본정부가 성노예 동원의 강제성을 명확히 인정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 일본과 한국, 중국 등 관련 당사국들이 참여하는 공동조사단을 구성하여 국제적인 공동조사를 실시할 것을 제안하며, 조사결과에 관련당사국이 책임을 지도록 한다면 공정하고 책임 있는 문제해결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관련 당사국이 참여하는 공동조사를 진행하는 것과 별개로 총리와 일본정부가 성노예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배상을 하는 것이 마땅한 도리요 최선의 방안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내 언론에서 사용하고 있는 '위안부'라는 표현은 `위로하는 여자', 즉 일종의 매춘부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 이는 일본군에게 붙잡히고 끌려가 억지로 성노예로 부림을 당했던 사실과 맞지 않는 표현이므로 앞으로 언론을 포함한 우리 모두는 이를 '일본군 성노예'라고 명시해야 하며, 언론이 앞으로 '일본군 성노예' 표현을 써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공개서한에는 한나라당과 우리당, 민주당, 통합신당모임, 민생정치모임 소속 의원 47명이 서명했다.

다음은 공개서한에 서명한 의원들 명단.

강성종, 강창일, 권선택, 김선미, 김성곤, 김영주, 김태년, 김태홍, 김희선, 노현송, 문학진, 박명광, 박재완, 배일도, 변재일, 신상진, 신학용, 안명옥, 양승조, 염동연, 우원식, 우제창, 유선호, 유필우, 윤원호, 이경숙, 이계진, 이광철, 이근식, 이낙연, 이목희, 이상경, 이성권, 이영호, 이인영, 이재오, 이종걸, 장영달, 장윤석, 장향숙, 정동채, 정진섭, 조배숙, 최 성, 최규식, 최재천 의원(가나다 순)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