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구상' 토론회, 각 정파 입장차만 확인
열린당 “대통합해야” vs 민주당 “쉽게 움직이기 어려워”
‘미래구상’이 6일 서울 조계종에서 개최한 대선토론회에서 각 정파가 입장차만 확인했다.
유선호 민생정치모임 의원은 범여권 통합작업의 지지부진함을 지적한 뒤 "할 수 있는 일부터 해야 한다"며 "탈당의원과 민주당 현역, 국민중심당 의원들이 하루 빨리 통합교섭단체를 만들고 열린우리당내 개혁세력인 김근태 의장계가 속히 탈당해 통합대열에 합류하라"고 호소했다.
이낙연 민주당 의원은 "처음에는 우리당 재선그룹, 차선책으로 통합신당모임, 민생정치모임과 원내교섭단체를 만들자고 했지만 전대를 앞두고 당심을 자극할까봐 논의를 동결했다"며 "전대 결과 통합에 좀더 엄격한 기준을 갖고 있는 분이 대표가 돼버렸다"고 전대후 달라진 민주당 상황을 설명했다. 이 의원은 "박상천 신임대표와 5일 밤 단둘이 얘기했는데, 그분은 통합교섭단체를 선행하는 게 안정적 통합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라며 "그러나 통합논의를 미룰 수 없는 만큼 머지않아 통합신당모임, 민생정치모임, 국민중심당 의원들과 만남을 갖겠다고 했다. 조금만 기다려달라"고 양해를 구했다.
이목희 열린우리당 의원은 통합교섭단체 구성과 별도로 ▲정치권 통합선행 후 시민사회세력과의 결합 ▲시민사회 중심의 통합 ▲대선 예비주자 결집후 제세력의 창당논의 ▲후보단일화 후 창당 등 네가지 통합방안을 제시한 후 세번째 방법을 최선이라고 제안했다. 이 의원은 "현실적으로는 대선 예비주자들이 모여 대선에 임하는 원칙을 합의한 후 그 합의정신에 따라 각 주체가 신당창당을 논의하는 게 최선"이라며 "현재 당적이 있는 분들은 탈당후 예비주자 모임에 참여하면 된다"고 말했다.
미래구상 공동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대화 상지대 교수는 미래구상의 단일 국민후보안을 제안하면서 "여러 후보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표분산을 막는 후보단일화와 달리 단일 국민후보는 정치지형을 근본적으로 재편하면서 가장 좋은 후보를 만드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진보개혁세력이 단독집권할 자신이 있다면 모르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연립정부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최규엽 민노당 집권전략위원장은 "2002년 대선 때는 월드컵, 반미 촛불집회, 민주당 경선, 노사모, 후보단일화 등 당선될 몇가지 조건이 있었으나 지금은 다르다"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비정규직 철폐, 국가보안법 폐지 등 일부 정책에서 범여권과 함께할 여지는 있으나 통합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선을 그었다.
이처럼 범 여권에 속한 각 정당과 정파간 입장과 의견차가 이날 토론회를 통해 확연하게 드러남에 따라 당초 목표로 제시된 5월말까지 신당 창당 일정에도 차질이 생길 우려가 제기되는 등 범여권의 향후 대통합이 어려움을 겪게될 전망이다.
유선호 민생정치모임 의원은 범여권 통합작업의 지지부진함을 지적한 뒤 "할 수 있는 일부터 해야 한다"며 "탈당의원과 민주당 현역, 국민중심당 의원들이 하루 빨리 통합교섭단체를 만들고 열린우리당내 개혁세력인 김근태 의장계가 속히 탈당해 통합대열에 합류하라"고 호소했다.
이낙연 민주당 의원은 "처음에는 우리당 재선그룹, 차선책으로 통합신당모임, 민생정치모임과 원내교섭단체를 만들자고 했지만 전대를 앞두고 당심을 자극할까봐 논의를 동결했다"며 "전대 결과 통합에 좀더 엄격한 기준을 갖고 있는 분이 대표가 돼버렸다"고 전대후 달라진 민주당 상황을 설명했다. 이 의원은 "박상천 신임대표와 5일 밤 단둘이 얘기했는데, 그분은 통합교섭단체를 선행하는 게 안정적 통합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라며 "그러나 통합논의를 미룰 수 없는 만큼 머지않아 통합신당모임, 민생정치모임, 국민중심당 의원들과 만남을 갖겠다고 했다. 조금만 기다려달라"고 양해를 구했다.
이목희 열린우리당 의원은 통합교섭단체 구성과 별도로 ▲정치권 통합선행 후 시민사회세력과의 결합 ▲시민사회 중심의 통합 ▲대선 예비주자 결집후 제세력의 창당논의 ▲후보단일화 후 창당 등 네가지 통합방안을 제시한 후 세번째 방법을 최선이라고 제안했다. 이 의원은 "현실적으로는 대선 예비주자들이 모여 대선에 임하는 원칙을 합의한 후 그 합의정신에 따라 각 주체가 신당창당을 논의하는 게 최선"이라며 "현재 당적이 있는 분들은 탈당후 예비주자 모임에 참여하면 된다"고 말했다.
미래구상 공동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대화 상지대 교수는 미래구상의 단일 국민후보안을 제안하면서 "여러 후보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표분산을 막는 후보단일화와 달리 단일 국민후보는 정치지형을 근본적으로 재편하면서 가장 좋은 후보를 만드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진보개혁세력이 단독집권할 자신이 있다면 모르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연립정부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최규엽 민노당 집권전략위원장은 "2002년 대선 때는 월드컵, 반미 촛불집회, 민주당 경선, 노사모, 후보단일화 등 당선될 몇가지 조건이 있었으나 지금은 다르다"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비정규직 철폐, 국가보안법 폐지 등 일부 정책에서 범여권과 함께할 여지는 있으나 통합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선을 그었다.
이처럼 범 여권에 속한 각 정당과 정파간 입장과 의견차가 이날 토론회를 통해 확연하게 드러남에 따라 당초 목표로 제시된 5월말까지 신당 창당 일정에도 차질이 생길 우려가 제기되는 등 범여권의 향후 대통합이 어려움을 겪게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