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공천-돈으로 자기사람 심는 건 구태”
“나라면 경부운하 추진 안해”, 이명박에 직격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13일 “정치라는 것은 권력투쟁 싸움이지만 누가 돈을 많이 써서 자기 사람을 만드느냐 하는 게 정치력이라고 한다면 시대에도 맞지 않고 국민들도 지긋지긋해 한다”고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박 전 대표는 이 날 서울 팔레스 호텔에서 열린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회원사 대표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공천이나 금권 갖고 자기 파 만들고..."
그는 또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공천이나 금권을 갖고 자기의 '파'를 만들고 '사람을 심었네, 어쩌네'하는 구태를 보였다면 오늘의 한나라당이 있었겠느냐”며 “이제는 새 정치를 할 때”라고 거듭 이 전 시장측을 비판했다.
그는 또 “당 대표직을 시작할 때는 당 지지율이 10%였는데 그만둘 때에는 50%까지 올라갔다”면서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공천이나 금권을 갖고 자기의 '파'를 만들고 '사람을 심었네, 어쩌네'하는 구태를 보였다면 오늘의 한나라당이 있었겠느냐. 이제는 새 정치를 할 때”라고 거듭 이 전 시장을 겨냥했다.
그는 “정치문화는 대개 남성문화기 때문에 여성이 하면 정치문화도 많이 바뀔 것”이라며 “국회도 '패거리 정치' 등의 문제가 많았다. 서로 싸우기보다는 조화와 조율을 통한 정치문화로 바뀜으로 해서 사회도 변할 것”이라고 ‘여성 지도자론’을 역설하기도 했다.
“이명박 추진력 강하지만... 나라면 경부운하 추진 안해”
그는 ‘이명박 전 시장의 장.단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추진력은 있는 분이다"라면서도 "같은 후보로 있는데 나에게 물어보는 것은 좀 그렇지 않느냐”고 더이상 언급을 피했다.
그는 그러나 이 전 시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경부운하 문제에 대해선 “경부운하를 건설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게 중요한데 과연 그것에 도움 되겠느냐”며 “나라면 추진하지 않겠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환경 단체에서는 환경 파괴를 얘기하고 경제성이 있느냐에 대해서도 찬반이 나눠져 있다”며 “이것이 계속 오래 논란이 되니까 전문가들이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는데 그리고 나면 상당히 윤곽이 잡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그는 최근 지지율과 관련해선 “아이고, 앞으로 얼마나 시간이 많이 남았는데...”라며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전 시장을 추격할 시간은 충분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었다.
“당분간 모순 안고 가더라도 헌법에서 북한 영토조항 빼기는 어려워”
한편 그는 북한에 대한 국가인정 논란과 관련 “북한은 이미 유엔 가입국이고 핵문제가 잘 해결되면 미국과도 수교할 수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실체로 인정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영토조항이 있어 국가인정이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이는 모순적이지만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당분간 모순을 안고 갈 수밖에 없다”며 “영토조항을 빼 버리면 북한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한국은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상충되기는 하지만 법을 지키며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성공단도 FTA협상 때 ‘메이드 인 코리아’로 인정해 달라고 했는데 영토조항을 빼버리면 이것을 인정할 수 없지 않은가. 상충되지만 법을 지키며 가야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또 만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 “만날 계획은 없고 이보다 먼저 중요한 것은 2.13합의를 관철시키는 것”이라며 “BDA 문제 해결이 안 되면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없기에 이를 북한이 지키도록 감시하고 촉구하고 관철되도록 우리가 힘 실어주고 촉구하는 것 그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변에 어떤 사람 있는지 보면 후보 알 수 있어”
그는 또 ‘대통령 후보들이 집권 전에 자신의 인사에 대한 정책을 미리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한 참석자의 지적에 대해 “나는 이미 하고 있다. 안보, 과학기술, 경제 이런 부분에 대한 특보나 자문단을 이미 발표했다. 이것은 유권자에 대한 의무”라며 “이를 통해 그 사람(후보)이 각종 정책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확실히 알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후보가 나중에 어떤 정책을 혼자 펼칠지 모르기 때문에 주변에 어떤 사람이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본인은 자유민주주의를 말해도 주변에 그렇지 않은 사람이 모여들면 그건 아닌 것이다. 유유상종이라고 입만 갖고 하는 사람은 구멍이 많인 생긴다. 후보를 믿고 못 믿고를 따지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인사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4.25 재보선 지원유세와 관련 “불패의 신화, 이런 의미부여는 쓸데없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당 후보가 나왔는데 당연히 가서 최선을 다해 돕는 것이 도리지 나 몰라라 할 수 있나”라고 말해, 향후 재보선 결과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는 최근 고엽제전우회원 앞에서 눈시울을 붉힌 것과 관련 “나이도 많고 몸도 불편한데 국가가 대우를 안해주는데 대해 가슴이 많이 아팠다”며 “그들은 국가의 부름을 받고 싸워서 병을 얻은 분들인데, 국가가 그 공을 알아주지 않으면 어떻게 하느냐”고 노무현 정권을 비판했다.
박 전 대표는 이 날 서울 팔레스 호텔에서 열린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회원사 대표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공천이나 금권 갖고 자기 파 만들고..."
그는 또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공천이나 금권을 갖고 자기의 '파'를 만들고 '사람을 심었네, 어쩌네'하는 구태를 보였다면 오늘의 한나라당이 있었겠느냐”며 “이제는 새 정치를 할 때”라고 거듭 이 전 시장측을 비판했다.
그는 또 “당 대표직을 시작할 때는 당 지지율이 10%였는데 그만둘 때에는 50%까지 올라갔다”면서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공천이나 금권을 갖고 자기의 '파'를 만들고 '사람을 심었네, 어쩌네'하는 구태를 보였다면 오늘의 한나라당이 있었겠느냐. 이제는 새 정치를 할 때”라고 거듭 이 전 시장을 겨냥했다.
그는 “정치문화는 대개 남성문화기 때문에 여성이 하면 정치문화도 많이 바뀔 것”이라며 “국회도 '패거리 정치' 등의 문제가 많았다. 서로 싸우기보다는 조화와 조율을 통한 정치문화로 바뀜으로 해서 사회도 변할 것”이라고 ‘여성 지도자론’을 역설하기도 했다.
“이명박 추진력 강하지만... 나라면 경부운하 추진 안해”
그는 ‘이명박 전 시장의 장.단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추진력은 있는 분이다"라면서도 "같은 후보로 있는데 나에게 물어보는 것은 좀 그렇지 않느냐”고 더이상 언급을 피했다.
그는 그러나 이 전 시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경부운하 문제에 대해선 “경부운하를 건설함으로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게 중요한데 과연 그것에 도움 되겠느냐”며 “나라면 추진하지 않겠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환경 단체에서는 환경 파괴를 얘기하고 경제성이 있느냐에 대해서도 찬반이 나눠져 있다”며 “이것이 계속 오래 논란이 되니까 전문가들이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는데 그리고 나면 상당히 윤곽이 잡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그는 최근 지지율과 관련해선 “아이고, 앞으로 얼마나 시간이 많이 남았는데...”라며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전 시장을 추격할 시간은 충분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었다.
“당분간 모순 안고 가더라도 헌법에서 북한 영토조항 빼기는 어려워”
한편 그는 북한에 대한 국가인정 논란과 관련 “북한은 이미 유엔 가입국이고 핵문제가 잘 해결되면 미국과도 수교할 수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실체로 인정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영토조항이 있어 국가인정이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이는 모순적이지만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 때문에 당분간 모순을 안고 갈 수밖에 없다”며 “영토조항을 빼 버리면 북한에 문제가 생겼을 때 한국은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상충되기는 하지만 법을 지키며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성공단도 FTA협상 때 ‘메이드 인 코리아’로 인정해 달라고 했는데 영토조항을 빼버리면 이것을 인정할 수 없지 않은가. 상충되지만 법을 지키며 가야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또 만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 “만날 계획은 없고 이보다 먼저 중요한 것은 2.13합의를 관철시키는 것”이라며 “BDA 문제 해결이 안 되면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없기에 이를 북한이 지키도록 감시하고 촉구하고 관철되도록 우리가 힘 실어주고 촉구하는 것 그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변에 어떤 사람 있는지 보면 후보 알 수 있어”
그는 또 ‘대통령 후보들이 집권 전에 자신의 인사에 대한 정책을 미리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한 참석자의 지적에 대해 “나는 이미 하고 있다. 안보, 과학기술, 경제 이런 부분에 대한 특보나 자문단을 이미 발표했다. 이것은 유권자에 대한 의무”라며 “이를 통해 그 사람(후보)이 각종 정책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확실히 알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후보가 나중에 어떤 정책을 혼자 펼칠지 모르기 때문에 주변에 어떤 사람이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본인은 자유민주주의를 말해도 주변에 그렇지 않은 사람이 모여들면 그건 아닌 것이다. 유유상종이라고 입만 갖고 하는 사람은 구멍이 많인 생긴다. 후보를 믿고 못 믿고를 따지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인사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4.25 재보선 지원유세와 관련 “불패의 신화, 이런 의미부여는 쓸데없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당 후보가 나왔는데 당연히 가서 최선을 다해 돕는 것이 도리지 나 몰라라 할 수 있나”라고 말해, 향후 재보선 결과에 대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는 최근 고엽제전우회원 앞에서 눈시울을 붉힌 것과 관련 “나이도 많고 몸도 불편한데 국가가 대우를 안해주는데 대해 가슴이 많이 아팠다”며 “그들은 국가의 부름을 받고 싸워서 병을 얻은 분들인데, 국가가 그 공을 알아주지 않으면 어떻게 하느냐”고 노무현 정권을 비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