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영남 친노의원들 "김혁규-유시민 출마 논의"

25일 회동, '서남벨트론'에 맞서 '영남후보론' 재점화인가

영남권의 친노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김혁규-유시민을 '영남 대선후보'로 내세우는 방안을 논의키로 해, 친노진영의 대선후보 옹립이 본격화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25일 친노 영남의원 회동 "김혁규-유시민 대선출마 논의"

16일 <부산일보>에 따르면, 윤원호, 박찬석 최고위원과 조경태(부산 사하을), 최철국(김해 을), 강길부(울산 울주), 조성래, 장향숙, 김혁규 의원 등 친노그룹으로 분류되는 영남권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오는 25일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한 음식점에서 만나 최근 범여권에서 추진되고 있는 통합 방안과 영남세력화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들은 현재 민주당과 통합신당모임,국민중심당이 추진 중인 중도성향의 신당과 관련,영남이 완전히 배제돼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 뜻을 모을 것으로 신문은 전망했다.

이 자리를 주선한 박찬석 의원은 <부산일보>와 인터뷰에서 "그동안 서로 격조했던 것 같아 제안한 친목모임"이라면서도 "범여권 통합 논의과정에서 호남·충청 등의 지역은 내부적으로 활발히 움직이고 있는 반면 상당한 인구를 차지하고 있는 영남 쪽은 너무 움직임이 없다"고 말해 영남후보 추대 논의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모임에 참석할 예정인 한 의원은 또한 "오픈 프라이머리에 영남권 후보도 참여해야만 영남민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고 영남에서의 지지세도 넓힐 수 있다"며 "현재 대선 출마를 고심 중인 김혁규 의원에 대한 얘기가 자연스럽게 논의될 수 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영남권의 한 의원은 또 영남 출신인 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에 대해서도 "노무현 대통령이 상당히 선호하고 있고 참여정치실천연대 등 적극적인 지지그룹도 있어 대선후보로 나설 경우 상당한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혀, 곧 당으로 복귀할 것으로 알려진 유 장관 출마 문제도 논의될 것임을 시사했다.

친노그룹으로 분류되는 이들 영남 의원들은 지난해 12월 회동을 갖고 정계개편이 추진될 땐 노무현 대통령과 동행한다는 원칙에 합의한 바 있다.

'서부 벨트론' 맞서 '영남 후보론' 꿈틀대나

이들 영남 친노의원 회동 계획은 최근 진행되는 통합 논의가 '호남+충청' 중심의 '서부벨트론'이 중심축을 이루고 있는 데 대한 '영남후보론' 주창자들의 반발 성격이 짙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한 영남출신 친노인사들은 그동안 "영남에서 후보를 낼 때만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다"는 '영남후보론'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최근 대세는 '서부벨트론'이다. 호남과 충청의 지지를 얻는 후보를 내세울 때만 독주를 거듭하고 있는 한나라당 대선후보와의 연말 대접전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특히 민주당-국중당 등이 신당창당 추진을 통해 이같은 구상은 정치적 실체를 갖춰나가기 시작했고, 연말대선에 본격적 개입의지를 드러낸 김대중 전대통령 등 동교동계 생각도 마찬가지다. '제2의 DJP'을 추진하고 있는 것. 이들 진영에서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이 유력 카드로 거론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따라서 영남권 친노인사들이 영남 출신인 김혁규 또는 유시민 의원 문제를 거론하기 위한 모임을 갖는다는 것은 '서부벨트론'에 맞서 '영남후보론'을 본격점화하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문제는 '영남후보론'이 과연 파괴력이 있을 것인가이다. 2002년 '노무현 바람'도 연청 등 동교동의 '보이지 않는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게 정설이다. 즉 '영남후보론'의 최대 아킬레스는 '호남 지원'이 없을 경우 무력화하기 십상인 카드라는 점이다.

또한 이들 영남권이 내세우려는 김혁규-유시민 등의 후보가 과연 한나라당 유력주자들과 대적할만한 대항마인가도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만 있다가는 철저히 왕따 당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이들 영남권에 팽배한 게 사실인만큼 이들의 움직임은 향후 정가에 상당한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여기에 DJ에게 정계개편 주도권을 빼앗길 수 없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의중까지 실릴 경우 그 파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