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원내대표 “강재섭 중재안은 강재섭 혼자 안”
금명간 원내대표 사퇴, "박근혜 반발 이해 가"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의 중재안에 대해 김형오 원내대표가 10일 “강 대표가 낸 것은 개인적인 입장에서 낸 안”이라며 강력 비판, 당 지도부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김 원내대표는 이 날 오후 KBS라디오 ‘라디오 정보센터 박에스더입니다’에 출연, “현재 이 중재안이라는 게 어떤 그 중재가 돼야되는데 더 멀어져버린 것 같다”며 “한쪽은 완전히 부정적으로 돼버리고 한쪽은 수용하고 그렇기 때문에 형태가 상당히 중재안을 내기 전보다도 좋아졌다 이렇게 얘기할 수 없게 되어버렸다”고 강 대표를 비판했다.
그는 “논리적으로 좀 문제가 있다”며 거듭 중재안을 비판한 뒤, “어제 아침에, 최고회의 때 비공개 때, (강 대표가) 설명을 했지만 최고의원들과 사전에 의논이 전혀 된 것도 아니고, 저를 포함한 누구하고도 귀띔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혼자 안으로 냈다”고 강 대표의 독주를 거듭 비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여론 조사를 반영하는 것을 국민선거 인단의 67%가 오던 안오던 67%를 반영을 하겠다, 그 이상을 반영하겠다 이런 뜻”이라며 중재안이 이 전 시장에 유리한 것임을 지적했다. 그는 “무엇보다도 왜 67%라고 하는 것이냐 하는 것”이라며 “그 어떤 기준을 정하려고 하면 합리적이고 타당한 누가 듣더라도 그래서 그렇구나 라는 얘기가 있어야 하는데 67%를 보전해주겠다 하는 것은 대단히 인위적인 것”이라고 거듭 강대표를 비판했다.
그는 “그동안 박 대표의 언급이나 행보에 비해서는 박 대표로서는 거부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그리고 이것이 67%안이 명분이라든지 논리적인 어떤 설득력을 갖춘다면 모르겠는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박 대표로서는 더 수용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박 전 대표의 반응에 대한 이해를 표시하기도 했다.
그는 이어 “이명박 시장 쪽에서는 어쨌든 여론 조사 비율이 좀 높아지고, 국민의 참여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미흡하지만 수용해야 되겠다 라는 아마 이런 결론에 다다르지 않았나 생각한다”라고 거듭 이번 안이 이 전시장측에 유리한 것임을 지적했다.
그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중재안을 오는 21일 전국위원회에 상정하기로 결의된 데 대해서도 “나의 반대 속에서 최고회의에서는 일단 전국위원회로 넘기자, 이렇게 좀 어정쩡하게 결론이 났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김 원내대표는 금명간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난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강재섭 지도부는 사실상 해체되는 국면이다. 후임으로는 맹형규 의원 등의 이름이 거명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 원내대표는 이 날 오후 KBS라디오 ‘라디오 정보센터 박에스더입니다’에 출연, “현재 이 중재안이라는 게 어떤 그 중재가 돼야되는데 더 멀어져버린 것 같다”며 “한쪽은 완전히 부정적으로 돼버리고 한쪽은 수용하고 그렇기 때문에 형태가 상당히 중재안을 내기 전보다도 좋아졌다 이렇게 얘기할 수 없게 되어버렸다”고 강 대표를 비판했다.
그는 “논리적으로 좀 문제가 있다”며 거듭 중재안을 비판한 뒤, “어제 아침에, 최고회의 때 비공개 때, (강 대표가) 설명을 했지만 최고의원들과 사전에 의논이 전혀 된 것도 아니고, 저를 포함한 누구하고도 귀띔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혼자 안으로 냈다”고 강 대표의 독주를 거듭 비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여론 조사를 반영하는 것을 국민선거 인단의 67%가 오던 안오던 67%를 반영을 하겠다, 그 이상을 반영하겠다 이런 뜻”이라며 중재안이 이 전 시장에 유리한 것임을 지적했다. 그는 “무엇보다도 왜 67%라고 하는 것이냐 하는 것”이라며 “그 어떤 기준을 정하려고 하면 합리적이고 타당한 누가 듣더라도 그래서 그렇구나 라는 얘기가 있어야 하는데 67%를 보전해주겠다 하는 것은 대단히 인위적인 것”이라고 거듭 강대표를 비판했다.
그는 “그동안 박 대표의 언급이나 행보에 비해서는 박 대표로서는 거부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그리고 이것이 67%안이 명분이라든지 논리적인 어떤 설득력을 갖춘다면 모르겠는데, 그렇지 않기 때문에 박 대표로서는 더 수용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박 전 대표의 반응에 대한 이해를 표시하기도 했다.
그는 이어 “이명박 시장 쪽에서는 어쨌든 여론 조사 비율이 좀 높아지고, 국민의 참여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미흡하지만 수용해야 되겠다 라는 아마 이런 결론에 다다르지 않았나 생각한다”라고 거듭 이번 안이 이 전시장측에 유리한 것임을 지적했다.
그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중재안을 오는 21일 전국위원회에 상정하기로 결의된 데 대해서도 “나의 반대 속에서 최고회의에서는 일단 전국위원회로 넘기자, 이렇게 좀 어정쩡하게 결론이 났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김 원내대표는 금명간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난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강재섭 지도부는 사실상 해체되는 국면이다. 후임으로는 맹형규 의원 등의 이름이 거명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