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10일 한나라 최고위 회의는 전쟁터였다!

김학원-김형오 vs 이재오-강재섭 격돌, 중재안 상정 강행

김학원 전국위원회 의장 및 김형오 원내대표 등의 강력반발에도 불구하고, 강재섭 대표와 이재오 최고위원 등의 밀어부치기로 한나라당 최고위원회가 '강재섭 중재안'을 오는 21일 전국위에 상정하기로 결의한 사실이 10일 뒤늦게 밝혀졌다.

10일 최고위원회의는 치열한 전쟁터였다

유기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최고위원회의 비공개 부분을 공개하며 이같은 사실을 밝혔다. 공개된 비공개 회의록에 따르면, 이날 최고위원회에서는 '박근혜계'로 분류되는 김학원 전국위의장과 강 대표-이재오 최고 사이에 강재섭 중재안의 전국위 상정 여부를 놓고 치열한 설전이 벌어졌다.

김학원 전국위의장은 “게임룰로 줄다리기하고 당 지도부가 해결 못하고 상임전국위, 전국위에서 표대결이 진행되면 후보, 당분열은 불을 보듯 뻔하다"며 "전국위 의장으로서 계속 추진할 수 없다. 룰은 바꿀 수 있으나 당사자들의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상정 불가 입장을 밝혔다. 김 의장은 또 “전국위의 소집은 의장의 전권이다. 소집요구권은 최고회의, 상임전국위에게 있으나 소집권은 의장이 가지고 있다"고 중재안 상정 여부는 자신의 권한임을 강조한 뒤, "의장으로서 회의소집은 하겠으나 합의 없는 안에 대하여는 상정하지 않겠다”고 거듭 상정 불가방침을 밝혔다.

이에 대해 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최고위원은 즉각 “전국위 의장이 먼저 안건을 받지 않겠다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김학원 의장을 성토했다.

정형근 최고위원도 “강대표의 안은 최고위원들과도 합의한 바 없으나 대표가 모든 것을 던진 안"이라며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당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상정 계속 안 하면 옳은 것인지, 어느 것이 당을 위한 것인지 판단해야 하며, 안 되는 경우에는 표대결로 거취 등을 판단해야 한다”고 중재안 상정 지지 입장을 밝혔다.

이에 맞서 김형오 원내대표는 “국민여론 반영 비율을 67%로 인정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도 문제가 많다. 법률적인 문제가 있으며 인위적, 작위적이며 애매한 잣대이므로 국민 당원에게 설득할 수 없다고 본다. 수정되어야 한다"며 "안의 상정에 대하여 반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원내대표 지원사격에 힘을 얻은 김학원 의장은 “어느 후보 선호해서 이런 말 하는 것 아니다. 걱정은 당이 깨질 수 있다는 것이고 룰 결정은 다음일이다. 화합하여 웃는 낯이 되어야 한다”고 거듭 상정 불가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강재섭 대표는 “내주 초에 상임전국위 정례회의가 있다. 상임전국위나 전국위에서 심사할 수 밖에 없다. 고심 많이 했다. 시뮬레이션결과 몇 표 차이 안 난다. 전국위에 보내고 합의 위해 최선을 다 하면 된다”고 상정 강행 방침을 밝혔다.

이재오 최고위원도 이에 “주장 때문에 엉클어지면 주장을 집어넣어야 한다. 주장대로라면 최고위원을 사퇴했어야 한다. 자기 주장이 옳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 나이에 알게 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3백12표 밖에 차이 안 난다는 말도 들었다. 국민참여가 67% 넘으면 아무 의미 없다. 부부가 자질구레한 일에는 매번 싸우나 큰일에 대해서는 싸우지 않는다. 큰일이라고 보기 때문에 말을 아껴야 한다. 이 쯤하고 전국위원회로 가야 한다”고 상정 강행 지지 입장을 밝혔다.

이강두 중앙위의장도 “강대표의 안이 위헌이 아니라는 것 분명히 제기하고 설득하여야 한다”고 강 대표를 지원 사격했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이에 맞서 “강대표의 안을 조정한 후 전국위에 회부하여야 한다”고 거듭 반대입장을 밝혔다. 권영세 최고위원도 “강대표안에 대하여는 조정가능성도 열어 놓고 두고 보아야 한다. 빅 2사이에 거부명분이 없어질 때까지 당지도부가 설득을 시도하여야 한다”고 김 원내대표 주장에 지지입장을 밝혔다.

유기준 대변인은 그러나 이같은 비공개 회의록을 공개한 뒤, "최고위에서 강대표의 조정안을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 회부하는 것으로 결의하였다"며 "주요 사안이기 때문에 당헌당규에 따라서 결의한 것"이라고 밝혀, 강재섭 대표의 중재안 상정 강행 의지를 분명히 했다.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강재섭 대표가 자신의 중재안을 전국위에 상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김형오 원내대표(왼쪽)가 심각한 표정을 짓고 있다. ⓒ연합뉴스


2차례 표대결 불가피, 박근혜 '경선 보이콧'이 변수

강 대표의 이같은 강행 방침에 따라 내주초 상임 전국위 정례회의 및 21일 전국위원회에서 강재섭 조정안에 대한 표대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행 전국위 규정 4조는 전국위의장이 상임전국위 의결 또는 최고위 의결, 재적위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상임전국위 및 전국위를 소집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규정에는 전국위의장에 대한 권한남용 견제 장치로 의장이 소집하지 않을 경우 대표최고위원이 소집한다고 명시돼 있어, 김학원 전국위의장의 반대에도 강 대표의 상임 전국위 및 전국위 소집이 가능하다.

관건은 강재섭 중재안에 강력 반발하고 있는 박근혜 전대표의 향후 대응이다. 박 전대표는 이미 '경선 불참'이라는 최후의 카드까지 꺼내든 상태다. 이같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강 대표 및 이명박계가 중재안을 강행처리하려 들 경우 한나라당 내분은 파국적 국면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한나라당의 한 당직자는 "이미 양 진영은 타협 불가능한 전면전을 시작한 양상"이라며 "향후 최대변수는 국민여론이 어느 쪽 손을 들어주느냐는 것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으로 쏟아져나올 여론조사 결과가 최대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인 셈이어서, 여론조사 결과가 주목된다.
김동현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