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현대차의 유성기업 노조파괴 철저히 수사하라"
KBS, 유성산업 전직 간부의 녹취 파일 공개
25일 KBS <뉴스9>에 따르면, 유성기업 사건에 현대자동차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증언이 처음 나왔다.
유성기업 전직 임원은 KBS 입수한 녹취 파일을 통해 "현대 아니었으면(노조 파괴)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지. 안 따라하면 현대한테 혼날 거고 하니까. 유성기업은 들러리야 들러리"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당시 현대차) 이사 주도로 다 했어. 현대가 주범이야. 현대 하청업체니까 시킨대로 해야할 거 아니야"라고 말했다.
그는 유성기업이 노조 파괴를 위해 제 2노조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현대차 임직원들이 수시로 지시하고 보고도 받았다며, 기간별로 제 2노조 가입 목표 인원까지 정해주고 압박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현대에서 (제2 노조원을) 70%~80% 만들라고 해서 내가 70% 못 만들었다고. 그래서 잘린 거야"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유성기업의 생산 현황 파악에 대한 일환이었을 뿐이고 노사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봅니다"고 부인했다.
금속노조 유성기업지회 변호인단은 현대차 임직원 4명이 노조 파괴 개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사건과 관련해 이 녹취 파일을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KBS는 덧붙였다.
보도를 접한 더불어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26일 브리핑을 통해 "유성기업 사태는 기업이 노조와 노동자를 어디까지 파괴하고 탄압할 수 있는지 잘 보여 주는 사례"라며 "‘직장 폐쇄’, ‘용역깡패 테러’뿐만 아니라, 심지어 노조탄압에 따른 스트레스로 정신질환을 앓던 조합원이 자살까지 하는 일이 있었지만 사측은 꿈쩍도 않았다"고 질타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검찰 과거사위원회는 노동 분야에서 유일하게 ‘유성기업 노조 파괴 사건’을 사전 조사 대상에 올렸지만 재판에 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조사 결정이 보류된 상태"라며 "기업의 부당 노동 행위와 노조탄압은 노동자와 기업주를 동시에 위협하는 반노동·반기업적 중대 범죄행위로, 유성기업의 노조파괴 사건에 대한 당국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