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취업자 16만5천명↑...정부 알바정책 '착시'
제조업 8개월째 큰폭 감소, 도소매-숙박음식업도 계속 감소
하지만 제조업과 도소매업-음식서비스업 취업자는 계속 줄고 사회복지서비스 등 공공부문 일자리만 늘어, 정부의 단기 일자리정책의 착시 현상으로 풀이된다.
12일 통계청의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718만4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16만5천명 늘었다.
이로써 취업자 증가 폭은 5개월 만에 10만명대를 회복했고, 지난 1월(33만4천명)에 이어 열달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외형적으로는 개선추세에 있는듯 보이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았다.
제조업 취업자는 9만1천명이나 감소했다. 이는 전달(-4만5천명)보다 감소폭이 배이상 커진 것이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 4월이래 8개월째 내리 감소중이다.
아울러 숙박음식점업(-5만9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9만1천명), 도소매업(-6만9천명), 교육서비스업(-4만4천명)도 줄었다.
반면에 단기 일자리 정부예산이 집중 투입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6만4천명)을 비롯해 정보통신업(8만7천명), 농림어업(8만4천명), 건설업(7만3천명) 등에서만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만 65세 이상 고령 취업자가 19만4천명이나 급증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90년 1월 이후 사상 최대치로, 작년 11월(12만2천명)과 비교해도 7만2천명 많다.
60~64세 취업자가 7만6천명 늘어난 것까지 합하면, 60대 이상에서만 27만명이 늘어났다. 정부 일자리 예산 투입의 결과로 풀이된다.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고용률은 61.4%로 작년 동월과 같은 수준이었다. 고용률은 올해 2∼10월 9개월 연속 하락하다 일자리 예산 투입으로 제자리걸음으로 돌아섰다.
고용률은 단기 일자리예산의 최우선 혜택층인 20대와 60대이상은 늘었으나, 30대, 40대, 50대는 모두 낮아져 대조를 이뤘다.
그러나 지난달 실업자는 90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8천명 늘었다. 11월 기준으로 실업자가 90만명을 넘어선 것은 IMF 사태직후인 1999년(105만5천명)이후 처음이다.
실업률도 3.2%로 작년 11월보다 0.1%포인트 상승하며, 미국발 금융위기가 강타했던 2009년 3.3%이래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도 10.7%로 0.6%포인트 높아졌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9%로 1.3%포인트 낮아졌다.
그러나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0.2%포인트 높아진 21.6%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비경제활동인구도 4만1천명 늘었다. 이 가운데 활동 상태가 '쉬었음'으로 조사된 이들은 9만명 늘었고 구직단념자는 8만5천명 증가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