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김동연 "소신이 담긴 정책이 모두 관철되는 건 아니다"

"신재민, 절대 극단의 선택 해서는 안돼"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3일 신재민 전 사무관에 대해 "신 사무관. 앞으로도 절대 극단의 선택을 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호소했다.

김 전 부총리는 이날 밤 페이스북을 통해 "많이 망설이다가 페북에 글을 올립니다. 신재민 사무관이 무사하다는 소식을 듣고 정말 다행이라 생각하지만 걱정이 남아서"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신 사무관은 공직을 떠났지만 앞으로 어떤 일을 하든 우리 사회를 위해 의미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청년입니다. 또 사랑하는 가족이 있습니다. 극단적이거나 비이성적인 선택을 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거듭 당부했다.

그는 그러면서 신 전 사무관이 주장한 청와대의 적자국채 발행 압박 논란에 대해선 " 기재부에서 다루는 대부분 정책은 종합적인 검토와 조율을 필요로 합니다. 어느 한 국(局)이나 과(課)에서 다루거나 결정할 일도 있지만 많은 경우 여러 측면, 그리고 여러 국의 의견을 듣고, 판단하고 결정하는 일이 많습니다"라면서 "최근 제기된 이슈들도 국채뿐 아니라 중장기 국가 채무, 거시경제 운영, 다음 해와 그다음 해 예산 편성과 세수 전망, 재정정책 등을 고려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고국뿐 아니라 거시, 세수, 예산을 담당하는 부서의 의견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특정 국 실무자의 시각에서 보는 의견과 고민이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만, 보다 넓은 시각에서 전체를 봐야 하는 사람들의 입장도 생각해 주기 바랍니다"라면서 "그 충정도 이해가 됩니다. 공직자는 당연히 소신이 있어야 하고 그 소신의 관철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도 34년 공직생활 동안 부당한 외압에 굴한 적은 결단코 없습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나 소신이 담긴 정책이 모두 관철되는 것은 아닙니다. 소신과 정책의 종합적이고 합리적인 조율은 다른 문제입니다. 부처 내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특정 실·국의 의견이 부처의 결정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는 부처의 의견이 모두 정부 전체의 공식 입장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부처, 청와대, 나아가서 당과 국회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보완될 수도, 수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 정책형성 과정"이라면서 "우리 경제에 할 일이 산적해 있습니다. 빨리 논란이 매듭지어지고 민생과 일자리, 그리고 경제의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해야 할 일에 매진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9 개 있습니다.

  • 0 0
    언론은 민주정부편이 아니다

    커뮤니티에 자살암시글이 올라온지
    불과 1시간도 안되서 뉴스1에 보도
    (기사송고)되면 짜고 치는거 맞지?..
    서울시 간첩사건조작해서 중국공안에
    중국공문서위조로 국가망신시킨 팀이
    아닐까 의심된다..
    http://news1.kr/articles/?3515836

  • 0 0
    삼성 장충기 문자 전문을 공개

    - 시사IN [단독] -
    http://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29814

    - 경향신문 뉴스 -
    http://h2.khan.co.kr/view.html?id=201708141401001

    문장자체는 매우 절제되고 유려하지만..
    내용을 보면 한국 적폐의 완전체다..

  • 1 0
    한국의 적폐는..

    부장판사하고 변호사 개업하면 묻지마 승소판결
    해줘서 수십억에서 백억대 수임료를 보장하는 전관협잡과..
    공범보상 시스템인데..
    댓글작업이든..정보제공이든 무엇인가를 해주고
    승진-불법취업청탁..등등으로 보상받는식이다.
    법조계-공직-언론의 공범보상시스템은
    삼성 장충기 문자에서 볼수있다..

  • 0 0
    민족고대 12학번

    야 손빨래 개홍오년아
    홍대출신년이 어디 감히 민족고대출신을 디스허냐

    개홍오손빨래 18년

    니땜에 쩝쩝이 개죳만한새퀴 부어이바위에서 띠어내릴듯
    어차피 사형인께

    카카카

  • 1 0
    박원숭

    관료의 전형...
    조선시대 선비의 데자뷰!

  • 0 0
    해석하자면

    해석하자면 담당공무원이 기안하여 올렸다고 해서 다 결재해줘 정책에 꼽사리 낑가주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쌈! 밤샘하며 기안하여 올린 서류, 반영도 안되고 사장되어 불만인 공무원들 많치만 너같이 그렇지는 않아요! 라는 말쌈이쥐!

  • 2 0
    비조

    백번 지당하신말씀.......
    그데 의문점이 하나 있음.
    당연한걸 많은 국민들이 아는데 왜! 왜! 왜!
    언론이나 일부 정치인들은 애써 외면하고 난리인걸까?
    그들은 무엇을 위하여 누구를 위하여 기사쓰고 정치하는걸까????

  • 2 10
    김동연은

    뻔뻔한 개소리 집어치우고
    역적 김동연은 자수하고 죄값 받아라

  • 3 7
    경남도민

    그래도 김동연이 재앙 정권에서 그나마 괜찮은 사람이었구만.

  • 1 0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조언

    [ "정치-경제학자의 사상의 영향력은 옳건 그르건 간에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강력하다..
    어떠한 영향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고 믿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대개는 죽은 경제학자의 노예들이다." ]

    죽은경제학자의 노예가 되지 말고..자본주의의 전환기에
    더욱 구체적인 미래비전의 제시와 함께 소비와 투자(=유효수요)
    확보위한 정부의 공공지출(적자재정)을 말함

  • 1 0
    2014년-OECD 포용적성장론 발표

    신자유주의의 첨병을 자임했던 국제기구조차 2008년 경제위기
    이후 자본주의의 지속가능성은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고
    소득과 분배의 불균형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2014년 발표된 OECD의 '포용적 성장론'의 내용은..
    -최저임금도입(최저임금인상)..
    -공공부문의 일자리 확대..
    -노동시간 단축..
    -확장재정(=적자재정)정책..이다..

  • 0 0
    한가지는 확실하다..

    비트코인도 여론보고..
    투자한것인데 폭망이면..
    결국 여론조사는 기득권이
    설치한 올가미나 마찬가지다..
    정작 올가미는 안보이게 해놓지만
    올가미로 가는길은 잘보이게 만든다..
    최저임금도 단순하게 시간당 1만5천원으로
    계산하면 되는데 무슨 주휴수당이니 하면서
    복잡하고 잘모르게 하는것처럼..

  • 1 0
    자본소득(이자-지대-배당)줄여야한다

    2017년 한국 1인당 GDP 3139만원을 연 노동시간 2069시간으로
    나누면 시간당 1만5169원인데 최저임금이 만오천원까지 올라도
    경제성장에 문제가 없다는 뜻이며
    미국의 대표적경제학자 폴 크루그먼(노벨경제학상)은 고소득층의
    수입을 압착(compress)하여 저소득층의 수입을 올린 1940-1970년
    (30년)이 미국경제의 황금기라고 표현했다..

  • 7 5
    잘해주면 고마워해야하는데...

    정말 이정부는 너무 신사적이어서 보기에따라
    다르겠지만, 좀 답답하고 속터질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번 경우도 아니 한놈은 셀프 사찰
    하고 정권에 덮어씌우고, 또 한놈은 자기가 5급
    사무관이 마치 대통령인줄알고 지랄하는것보니
    참으로 어의가없네요. 담당자 한놈이 다될것
    같으면 여러부처가 왜필요합니까? AI 한대만
    있으면되지? 은혜를 원수로갚는놈은 작살내야죠.

  • 10 12
    ㅋㅋㅋㅋ

    문좨앙같은 소경한테 소신있는 정책 해봤자
    림종석한테 결제 빠꾸요 ㅋㅋㅋ

  • 4 4
    그냥 말을 해라.

    이거도 아니고, 저거도 아닌 개소리 말고!

  • 10 3
    머리가 좋은 것과 현명한 것은

    다른 얘기다

    머리가 좋아도 현명하지 못한 많은 사람들이 있다

    반면에 머리는 특별하게 좋지는 않아도 의외로 현명한 사람들도 많다

    특정 분야에 머리가 좋을 수 있고 종합적인 사고력이 뛰어난 사람도 있고

    또 어느 정도 인성이 작용할 수 도 있다

    신재민이는 머리는 좋은데 아직 경험이 부족해서 현명하지는 못한 듯

  • 12 11
    에둘러서

    외압이 있었다는 건 인정하는 건가?
    신재민이 말이 근거 없는 건 아니었나 보네?

  • 16 6
    ㅋㅋㅋ

    외통수 외골수 참 가엾다... 도대체 새카맣게 어린 녀석 하나가 왜 나라를 시끄럽게 하는지 걱정스럽다...지가 대통령하지 왜... 실무자 하냐....외골수 저만 옳고 상위차원의 종합적 판단은 틀리다 하니 기막히다.상식적이지 않은가 누가 옳은지.금새 판단되는데.....원나참,,참나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