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올해 한국성장률 2.1%, 내년은 2.2% 그칠 것"
넉달만에 한국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4일 한국의 올해와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2.1%와 2.2%로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세계 거시 전망 2019∼2020' 보고서에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기준 성장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2.0%를 약간 웃돌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지난해의 2.7%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해 11월 보고서에서는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019년 2.3%, 2020년 2.5%로 각각 제시한 바 있다. 넉달만에 올해 성장률은 0.2%포인트, 내년은 0.3%포인트 낮춰 잡은 것.
무디스는 하향 조정 이유에 대해 "투자 사이클 약화와 글로벌 무역 감속이 경제 모멘텀을 해쳤다"며 "또 중국으로부터의 중간제품 수요 둔화, 특히 반도체에 대한 수요 침체는 수출과 투자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고용 성장 부진은 최저임금 인상 탓이 크다"며 "중소기업이 임금 인상을 경쟁력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디스는 그러나 "확장적인 재정·통화정책이 국내외 여건 악화에 따른 영향을 부분적으로 상쇄할 것"이라며 "가처분 소득의 160%가 넘는 가계부채가 소비지출 전망에 제약요인이 되고 있으나 최저임금 인상은 소비지출을 지지할 것이고 재정정책이 효과를 거두면 일자리 전망도 나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는 무디스의 하향 조정에 대해 “기관 간 컨센서스와는 동떨어진 전망”이라며 “실제로 올해 성장률이 2.1%로 떨어질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무디스는 '세계 거시 전망 2019∼2020' 보고서에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기준 성장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2.0%를 약간 웃돌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는 지난해의 2.7%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해 11월 보고서에서는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019년 2.3%, 2020년 2.5%로 각각 제시한 바 있다. 넉달만에 올해 성장률은 0.2%포인트, 내년은 0.3%포인트 낮춰 잡은 것.
무디스는 하향 조정 이유에 대해 "투자 사이클 약화와 글로벌 무역 감속이 경제 모멘텀을 해쳤다"며 "또 중국으로부터의 중간제품 수요 둔화, 특히 반도체에 대한 수요 침체는 수출과 투자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고용 성장 부진은 최저임금 인상 탓이 크다"며 "중소기업이 임금 인상을 경쟁력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디스는 그러나 "확장적인 재정·통화정책이 국내외 여건 악화에 따른 영향을 부분적으로 상쇄할 것"이라며 "가처분 소득의 160%가 넘는 가계부채가 소비지출 전망에 제약요인이 되고 있으나 최저임금 인상은 소비지출을 지지할 것이고 재정정책이 효과를 거두면 일자리 전망도 나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는 무디스의 하향 조정에 대해 “기관 간 컨센서스와는 동떨어진 전망”이라며 “실제로 올해 성장률이 2.1%로 떨어질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