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급한 정부 "지자체, 버스요금 올려 파업 막아라"
버스기사 임금 보전 놓고 정부-지자체 '핑퐁 게임'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의 국토부 회의실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을 불러 "노선버스는 하루 1천700만명의 이동을 책임지고 있어 버스 파업시 국민 생활에 큰 불편이 초래된다"며 "각 지자체가 노사 협상을 적극 중재·조정해 파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김 차관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따른 버스 노조의 임금 보전 요구에 대해 "현실적으로 정부 및 지자체의 재원만으로는 모든 부담을 해소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파업 방지와 버스업계의 원활한 인력 충원을 위해 그동안 동결했던 버스요금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며 2015년이래 동결된 버스요금 인상을 통한 해결을 압박했다.
하지만 이같은 정부의 버스요금 인상 압박에 지자체들은 미온적이다.
주 52시간제에 따른 버스기사 임금 보전을 이유로 버스요금 인상을 강행할 경우 버스 이용 서민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되고, 주 52시간제로 임금이 줄어드는 타업종 노동자들과의 형평성 논란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경기도 등 지자체들은 주 52시간제는 정부 정책인만큼 버스기사 임금 보전도 중앙정부 예산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내년 4.15 총선을 앞두고 있는 여당도 임금 보전을 위한 버스요금 인상 강행이 총선에 악재로 작용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하며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반면에 정부는 경기 급랭으로 세수 상황이 급속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재정을 통한 임금 보전은 불가하다는 입장이어서, 이러다가 오는 15일 버스 총파업이 현실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재원'에 대한 고민 없이 추진된 정책들이 하나둘 부메랑으로 돌아오는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