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정동영 "현행 대입 폐지, 교양대학 설립"

“교육 가치.본질 회복 위한 교육시스템의 전면 개혁 필요”

범여권 대선주자인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이 7일 현행 대학입시제도를 폐지하고 대신 일정수준의 학력이 되면 진학가능한 교양대학(가칭)을 설립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교육개혁방안을 제시했다.

정 전 의장은 이날 오후 '통합과 번영을 위한 미래구상'이 주최한 '미래한국 희망만들기 전국순례' 초청강연에 앞서 미리 배포한 강연자료에서 "교육은 현실의 문제이자 미래를 여는 열쇠인 만큼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며 "현재 대학입시와 서열화로 인해 우리의 아이들은 거대한 '죽음의 트라이앵글'로 내몰리고 있다"며 우려했다.

그는 "때로 어린 생명을 앗아가는 '과도한 입시 경쟁', 중산층을 한 순간에 빈곤층으로 내모는 천정부지의 '사교육비 부담', 이로 인한 계층 간-지역 간 첨예한 갈등이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고 있다"며 "이제는 교육의 가치와 본질을 원래대로 회복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의 전면적 개혁이 필요하다. 모든 국민들이 노력하면 '개천에서 용이 난다'는 우리 속담이 현실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우리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육의 경쟁력 및 창의력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활력을 강화시킬 이른바 '3강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개혁방안을 구상해왔다"며 "현 입시제도를 폐지해 사교육비 부담을 전면적으로 줄이고자 한다. 사교육비는 서민에게는 생계의 문제이자 생존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중산층도 막대한 사교육비를 충당하기 위해 가정생활 자체가 파괴되고 노년을 준비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이러한 사교육비는 바로 현행 입시에서 비롯되고 있으며, 점수반영 조절과 같은 미시적 접근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 보다 근본적으로 현행 입시제도를 없앨 때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하고 공교육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행 입시제도를 없애는 대신, 일정 수준의 학력만 되면 이른바 '교양대학'(가칭)에 진학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며 "교양대학은 2년 동안 지금의 대학과정보다 더욱 강도 높게 지식기반사회를 앞서갈 수 있는 기초지식생산체력을 기르는 기관이다. 교양대학과정 이후에는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학과특성에 맞게 학생들을 선발하여 3년 동안 각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받도록 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통해 사실상 입시제도는 철폐될 것이고, 입시를 위한 사교육비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며 "더욱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대학에서 본격적으로 열심히 공부하게 돼 대학경쟁력이 크게 강화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