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경영계 "내년도 최저임금 4.2% 삭감해야", 노사 팽팽

노조측 19.8% 인상에 맞서 삭감 주장. 공은 정부에게로

경영계가 3일 노동계가 내년도 최저임금 19.8% 요구안을 제출한 데 맞서 4.2% 삭감안을 제출, 노사가 정면대립하는 양상이다.

사용자위원들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개최한 제8차 전원회의에 복귀하면서 내년도 최저임금 최초 요구안으로 시급 기준 8천원을 제출했다. 이는 올해 최저임금(8천350원)보다 4.2% 삭감한 액수다.

사용자위원들은 ▲ 가파른 최저임금 인상 속도 및 높은 수준 ▲ 높은 최저임금 미만율(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임금을 받는 노동자 비율) ▲ 실물경제 부진 심화 ▲ 중소·영세기업과 소상공인의 어려움 가중 ▲ 취약계층의 고용 부진 등을 삭감 이유로 열거했다.

경영계가 최저임금 심의에서 삭감을 요구한 것은 2010년 적용 최저임금을 심의한 2009년 이후 10년 만이다. 2010년 당시 경영계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 고통 분담을 내세우며 최초 요구안으로 5.8% 삭감을 제시했으나 최저임금이 실제로 삭감된 적은 한 번도 없다.

따라서 사측의 삭감 주장은 노동계가 19.8% 인상을 요구한 데 대해 반격 성격이 짙어, 실제로는 동결 또는 소폭 인상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은 입장문을 통해 경영계 요구안에 대해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으로 간신히 유지해온 우리 사회의 후진적 노동체제를 바꿔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와 발전을 퇴보시키자는 내용"이라며 "인면수심 그 자체"라고 원색비난했다.

한국노총도 논평을 통해 "최저임금 삭감은 소비 감소와 경기침체를 불러와 소상공인 본인들은 물론 우리 경제에 매우 나쁜 영향을 준다"며 "경제를 망칠 생각이 아니라면 최저임금 삭감 주장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처럼 노사가 팽팽히 대립하면서 공은 정부측 입장을 대변하는 공익자 위원들에게 넘어간 양상이어서, 과연 정부가 내년 최저임금을 얼마나 올릴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도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8 개 있습니다.

  • 1 0
    문제는 기초과학 핵심기술은 안보인다는

    것이다..스마트폰등의 전자제품을 정밀분해하지않는이상
    일본산등의 핵심부품은 볼수없기때문이다.
    재벌대기업이 세금이나 기타특혜로 성장해왔으면서
    중소기업단가와 임금깎고..기술탈취하여 쉽게이윤을
    만드는 관행을 안버리면 언제든지 올수있는 위기중의
    히나일뿐이며
    이공계 대학원..연구원등의 열정페이 노동착취관행은
    모두가 알고있는데 엉뚱한 정부탓을 하고있다..

  • 1 0
    조중동 찌라시가 정작 숨기고싶은것은

    북유럽국가들에서 정부-재벌-국민의 사회적합의다.
    스웨덴은 재벌이 세습하는것을 용인하는대신 85%의
    법인세를 내고 세습하는 재벌가는 일정수준의 교육과정을
    마친경우에만 경영하게하는 정부-재벌-국민의 합의로
    복지국가를 만들었는데
    조중동찌라시가 엉뚱한 주제로 말장난하는것은
    북유럽이 국민적 합의로 복지국가를 만든것을
    국민들이 모르게하는 목적으로 생각한다..

  • 0 1
    안양시민

    민주노총은 나라가 망해도 임급 인상하라고 할 집단이다. 살기가 힘들다 하는데
    정말 힘들다. 최저임금을 삭감이라도 해야된다. 장사가 안되고 경기가 안돈다.
    이게 민중의 민심이고 현실이다. 동결내지 인하를 해야 한다.

  • 0 0
    등쳐먹는 게 곧 엽전식 경영

    누가 엽전 아니랠까봐. 경영기술이라곤 갑질하고 노동자 등쳐먹는 기술밖에 없으니 저렇게 나오는 것도 한 편으론 이해는 되. 누굴탓하랴, 엽전으로 태어난 죄지,,다 니들 팔자

  • 1 1
    8.42% 올리면 딱 좋겠다!

    8350원 + 703원 인상한 9053원 딱 좋네!
    단단위 짜르고 9050원 좋아!

  • 2 0
    2017한국 1인당GDP3139만원을

    연 노동시간 2069시간으로 나누면
    시간당 1만5169원인데 최저임금이 만오천원까지 올라도
    경제성장에 문제가 없다는 뜻이며
    미국의 대표적경제학자 폴 크루그먼(노벨경제학상)은 고소득층의
    수입을 압착(compress)하여 저소득층의 수입을 올린 1940-1970년
    (30년)이 미국경제의 황금기라고 표현했다..

  • 2 0
    GNI(2018)이 3만달러이상인데

    이말은 1달러환율 1150원으로 계산하면
    1인당 1년소득이 3450만원이므로 4인가족이면
    1억3천8백만원이 1년소득이다..현실이 그런가?.
    재벌의 내부거래로 인한 40조원 부당이득과
    4대강-해외자원-방산비리로 최소200조가 증발
    한것때문에 양극화가된것..
    http://www.hani.co.kr/arti/economy/finance/838121.html

  • 2 0
    800조이상 기업유보금이 쌓여있다

    경상수지는 흑자인데 소득-고용은감소?
    국내생산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이늘고 수입은감소한다면
    경상수지(무역수지)는 증가(=외환보유고증가)하고
    국내고용과 소득이 늘어야 하는데..오히려 감소한것은
    마치 경상수지적자일때와 같은 현상인데..
    고용은 생산자동화설비로 줄이면서 임금은 물가상승율 이하로
    억제한 차액만큼이 800조이상 기업유보금으로 쌓이고 있기때문이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