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남 "비정규직 보호 못하는 비정규직보호법 다시 바꿔야"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기간제 근로자의 사용을 금지시켜야”
범여권 대선주자인 신기남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5일 "비정규직보호법에 따른 기업의 처분 중에 바람직하지 못한 사례가 있다"며 '비정규직보호법 재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신 전 의장은 이날 오전 홈에버 서울 상암점을 방문해 무기한 점거농성을 벌이고 있는 이랜드 비정규직 노동자들과의 면담에서 "우리은행 등 비정규직을 보호한 기업들과 비정규직을 해고한 기업들은 우리 사회에서 서로 다른 대접을 받아야 한다"며 "비정규직보호법을 비정규직 해고법으로 만들려는 일부 기업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를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사유제한을 도입해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기간제 근로자의 사용을 금지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비정규직 보호법의 재개정이 필요하다"며 "근로자 파견제도를 폐지해야 하고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협약 체결에도 나설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민주투사들의 헌신으로 민중 생존권이 확보되어 왔다"며 "신자유주의시대인 지금은 복지투사들이 그 역할을 감당해야 하고 이를 위해 복지문화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랜드 계열사인 홈에버와 뉴코아의 비정규직 노동자 7백50여명은 비정규직 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사측으로부터 사실상 해고를 당했다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아웃소싱 중단 등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6백여명이 홈에버 상암점에서 6일째 점거농성을 벌이고 있다.
신 전 의장은 이날 오전 홈에버 서울 상암점을 방문해 무기한 점거농성을 벌이고 있는 이랜드 비정규직 노동자들과의 면담에서 "우리은행 등 비정규직을 보호한 기업들과 비정규직을 해고한 기업들은 우리 사회에서 서로 다른 대접을 받아야 한다"며 "비정규직보호법을 비정규직 해고법으로 만들려는 일부 기업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를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사유제한을 도입해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기간제 근로자의 사용을 금지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비정규직 보호법의 재개정이 필요하다"며 "근로자 파견제도를 폐지해야 하고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협약 체결에도 나설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민주투사들의 헌신으로 민중 생존권이 확보되어 왔다"며 "신자유주의시대인 지금은 복지투사들이 그 역할을 감당해야 하고 이를 위해 복지문화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랜드 계열사인 홈에버와 뉴코아의 비정규직 노동자 7백50여명은 비정규직 보호법 시행을 앞두고 사측으로부터 사실상 해고를 당했다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아웃소싱 중단 등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6백여명이 홈에버 상암점에서 6일째 점거농성을 벌이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