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정동영 "미국, 미국기자 구하려 포로 5명 풀어줬잖냐"

"미국은 동맹국으로서 최선 다해야" 미국 압박

범여권 대선주자인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도 1일 미국이 지난해 미국기자 피랍때 이라크 포로 5명을 석방한 전례를 상기시키며 미국의 이중성을 질타했다.

정 전 의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가진 간담회에서 "테러세력과는 협상하지 않는다는 국제사회의 '보이는 원칙'을 지지하고 존중하지만 이제는 '보이지 않는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23명의 인질이 미국인이었다면 미국 정부는 어떤 판단을 했을지 묻고 싶다"며 "우리는 작년 1월 미국이 '비타협' 원칙의 예외를 인정해 미국 여성 언론인과 수용소에 억류중이던 이라크 여성 5인을 맞교환한 사실을 기억하고 있다"고 미국의 이중성을 지적했다.

그는 "우리로서는 무고한 생명이 이역만리 타국땅에서 영문도 모른 채 살해되고 살해위협에 놓인 기막히고 참담한 현실을 견딜 수 없다"며 "탈레반 세력이 제시한 포로 명단에는 미국이 관할하는 포로들이 포함되어 있고 아프칸 정부 역시 미국을 의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이 나서지 않으면 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이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국제 사회의 생각"이라고 미국을 압박했다.

그는 " 23명의 인질이 한국인이 아니라 미국인이었다면 미국 정부는 어떤 판단과 선택을 했을지 다시 묻고 싶다"며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워싱턴과 카불은 지금 즉시 열쇠를 돌려야 한다"며 미국이 한국인질 석방협상에 전향적 태도를 보일 것을 주문했다.

그는 탈레반 지도부에 대해서도 "여러분이 억류한 한국인은 여러분의 적이 아니라 여러분 나라의 힘없고 고통받는 사람들을 도와주러 간 봉사자들"이라며 "여러분의 손님인 한국인들을 제발 더 이상 희생시키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김홍국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