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주자 4인 "대리접수 금지시켜야"
손학규-정동영에 대한 본격 견제구
열린우리당 출신 친노 대선주자 4인이 22일 한 자리에 모여 대통합민주신당 국민경선위원회의 경선선거인단 모집때 대리접수를 금지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해찬-한명숙 전 총리와 신기남 전 의장,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후보등록 마감일인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 호텔 식당에서 4자 회동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들의 요구는 손학규 전 지사와 정동영 전 장관이 대대적인 조직 확충에 나선 데 대한 견제로 해석되고 있다.
이해찬 전 총리는 "인터넷이나 전화로 대리접수를 하면 종이당원보다 더 심각한 사태 생길 것"이라며 "명단만 제출하면 되기 때문에 어떤 조직의 명단을 접수해 놓고 강제동원을 하게 되면 정당사상 유례없는 타락선거로 번져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한명숙 전 총리도 "집단적으로 본인의 의사와 관련 없는 사람을 대리접수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유출과도 관련되기 때문에 불법"이라며 "자발적인 접수 이외의 사람들의 경우 사실상 금권과 연결될 가능성이 많다"고 지적했다.
신기남 전 의장은 "대리접수 허용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주된 논거는 많은 선거인단을 모집해야 되겠다는 수의 집착"이라며 "구태정치 행태를 되풀이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유시민 전 장관도 "대리접수를 허용하는 것은 실제 민주신당의 경선에 참여의사도 없고 관심도 없는 분들까지 누군가가 본인 동의도 받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접수해 놓고 인원을 동원하는 선거로밖에 볼 수 없다"며 "인터넷이나 핸드폰 인증과 같은 간단한 시스템으로 본인이 확인되는 것도 있고 전화 콜센터도 현대화돼 전화번호가 다 기록되게 하는 방법도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신당은 22일 오후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컷오프)의 후보등록을 마감할 예정이지만 이들 친노주자 4인이 선거인단 대리접수 금지를 요구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 후보등록 절차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후보등록 첫날인 21일에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 추미애 전 의원, 유재건 의원 등 5명이 등록, 10명 안팎으로 예상됐던 후보등록 규모의 절반에 그쳤다.
이해찬-한명숙 전 총리와 신기남 전 의장,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후보등록 마감일인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 호텔 식당에서 4자 회동을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들의 요구는 손학규 전 지사와 정동영 전 장관이 대대적인 조직 확충에 나선 데 대한 견제로 해석되고 있다.
이해찬 전 총리는 "인터넷이나 전화로 대리접수를 하면 종이당원보다 더 심각한 사태 생길 것"이라며 "명단만 제출하면 되기 때문에 어떤 조직의 명단을 접수해 놓고 강제동원을 하게 되면 정당사상 유례없는 타락선거로 번져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한명숙 전 총리도 "집단적으로 본인의 의사와 관련 없는 사람을 대리접수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유출과도 관련되기 때문에 불법"이라며 "자발적인 접수 이외의 사람들의 경우 사실상 금권과 연결될 가능성이 많다"고 지적했다.
신기남 전 의장은 "대리접수 허용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주된 논거는 많은 선거인단을 모집해야 되겠다는 수의 집착"이라며 "구태정치 행태를 되풀이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유시민 전 장관도 "대리접수를 허용하는 것은 실제 민주신당의 경선에 참여의사도 없고 관심도 없는 분들까지 누군가가 본인 동의도 받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접수해 놓고 인원을 동원하는 선거로밖에 볼 수 없다"며 "인터넷이나 핸드폰 인증과 같은 간단한 시스템으로 본인이 확인되는 것도 있고 전화 콜센터도 현대화돼 전화번호가 다 기록되게 하는 방법도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신당은 22일 오후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컷오프)의 후보등록을 마감할 예정이지만 이들 친노주자 4인이 선거인단 대리접수 금지를 요구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 후보등록 절차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후보등록 첫날인 21일에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 추미애 전 의원, 유재건 의원 등 5명이 등록, 10명 안팎으로 예상됐던 후보등록 규모의 절반에 그쳤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