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민주신당 경선 '11파전' 시작

여론조사 도입 등 놓고 갈등 계속

대통합민주신당의 대선 예비후보가 11명으로 확정됐다. 김원웅 의원, 강운태 전 장관은 불참했다.

접수 첫날인 21일 손학규 전 경기지사,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 유재건 의원, 추미애 전 의원 등 5명이 후보등록을 마친 데 이어, 마감일인 22일에는 이해찬 한명숙 전 총리,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신기남 전 열린우리당 의장, 천정배 전 법무부장관, 최병례 전 열린우리당 국정자문위원 등 6명이 등록했다. 이해찬 한명숙 신기남 유시민 후보 등 친노 4인은 경선방식을 놓고 경선위와 갈등을 빚다가, 경선위가 수정안을 제시함에 따라 마감시한인 이날 오후 6시 직전 등록을 마쳤다.

경선위는 ▲선거인단 인터넷 접수분에 대한 휴대전화 인증 시스템을 도입하고 ▲전화 접수시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하며 ▲대리접수시 대리인의 신원을 확인하도록 하는 등 3개 항의 수정안을 냈고, 이해찬 후보 등 4인은 이를 수용했다.

이로써 선거인단 대리접수를 둘러싼 논란은 일단 수그러 들었으나, 이번에는 손학규- 정동영 후보측이 본경선때 여론조사와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는 문제를 놓고 치열한 기싸움을 벌이기 시작해 향후 난항을 예고했다.

정 후보측 정청래 의원은 22일 오후 기자회견을 갖고 "여론조사 도입은 6인 연석회의에서 합의했던 완전국민경선제에 어긋난다"며 "여론조사를 통해 어떻게 해보려는 건 바로 이명박식 사고"라고 비난했다.

이에 맞서 여론조사에서 앞서고 있는 손학규 후보측 우상호 대변인은 기자회견을 통해 "예비경선에서 선거인단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50대 50으로 하고 있는데, 그 취지대로 계속 가는 것이 좋다"며 여론조사 도입 찬성 입장을 밝혔다. 정봉주 의원 또한 "제한적 국민경선제는 당심의 반영이므로 민심을 반영할 장치를 만들자는 취지"라며 여론조사 도입의 당위성을 주장했다.

한편 당초 민주신당 경선후보에 등록할 것으로 알려졌던 김원웅 의원과 강운태 전 내무부장관은 신당경선에 불참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지난달 열린우리당에 입당했던 강 전 장관은 보도자료를 통해 "민주신당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며 "뜻을 함께 하는 동지들과 함께 `제3기 민주정부' 수립을 위한 정치결사체를 조직해나갈 것이며, 때가 되면 민주신당에 간 개혁 후보들과 연대해 나가겠다"고 밝혀, 후보 사퇴를 하지 않은 채 김혁규 의원 등 무소속 후보들과의 연대 등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김홍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