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포스코이앤씨, 건설면허 취소 검토"
시공능력 7위 대형건설사, 창사 이래 최대 위기 봉착
여름휴가중인 이 대통령은 "연속적인 인명사고를 발생시킨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매뉴얼 준수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고, 예방 가능한 사고는 아니었는지 면밀히 조사하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이러한 산업재해가 반복 안 되도록 징벌 배상제 등 가능한 추가제재 방안을 검토해 보고하라"고 덧붙였다.
포스코이앤씨는 포스코홀딩스 자회사로 시공능력(도급순위) 7위의 대형건설사여서, 건설면허 취소시 거센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연간 매출이 10조원에 달하고 직원 숫자가 6천여명이 넘는다.
지금까지 건설업 면허가 취소된 사례는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로 1997년 동아건설산업 건설면허가 취소한 게 유일하다. 면허가 취소되면 신규 사업을 할 수 없고, 다시 면허를 취득한다고 하더라도 수주 이력이 없기 때문에 관급공사를 따내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앞서 지난 4일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경기 광명시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공사 현장에서 미얀마 국적의 30대 남성 노동자가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의식불명 상태에 빠졌다. 해당 공사 현장은 이 대통령이 올 들어 4명이나 사망한 포스코이앤씨 산재 사망사고를 강하게 질타하자, 현장 작업을 중단하고 긴급 안전점검을 마친 곳이었다.
포스코이앤씨는 이 대통령 격노 사실이 알려지자 정희민 사장이 취임 8개월만에 사임하고 주4.5일제 권고하는 등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했으나, 이 대통령이 건설면허 취소까지 거론하면서 창사후 최대 위기에 봉착한 양상이다.
재계 일각에서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회장이 직접 사태 수습에 나서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는 등, 취임 1년 5개월을 맞은 장 회장도 벼랑 끝에 몰린 형국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