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무전환 신청' 전경에 "외출, 면회, 인터넷 금지"
부대장 "언론에 알리면 전화사용도 금지"
촛불집회를 계기로 전투경찰 제도에 회의를 느끼고 육군 복무 전환을 신청한 서울경찰청 제4기동대 소속 전투경찰 이모(22) 상경에 대해 해당 부대장이 외박·외출·면회·인터넷 사용까지 금지했다.
이 상경은 9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오늘 오후 1시께 부대 중대장으로부터 2개월 간 외박과 외출, 면회, 인터넷 사용을 금지한다는 제재 내용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이 상경은 "중대장은 제재의 이유에 대해 내가 성추행 혐의 형사사건에 계류 중이고 영창징계전력이 있다고 설명했지만 부당하다고 판단해 부당명령거부서를 제출했다"며 "부대장은 `언론에 알려 문제를 일으킬 경우 전화사용도 금지하겠다'고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이 상경은 부대의 이같은 제재 조치에 대해 "최근 어청수 경찰청장, 한진희 서울경찰청장, 부대 중대장 등을 명예훼손 및 감금행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며 경찰의 보복제재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제4기동대 관계자는 "부대 중대장으로부터 `하도 골치가 아프니까 외부와 차단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상경은 영창 징계를 받고 자대로 복귀한 8일 오후 10시30분께 부대 내 선임병으로부터 폭행당해 안경이 부러지고 얼굴에 멍이 드는 상처까지 입었다고 털어놨다.
가해자는 이 상경의 `육군 복무 전환' 사건이 파장을 일으킨 뒤 부대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소원수리' 과정에서 "이 상경이 근무를 태만히 했다"고 주장한 선임병으로 이 상경이 "계속 거짓말하면 위증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고 항의하자 홧김에 때린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용산서는 가해 선임병을 불러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해당 전경부대와 이들을 지휘하는 용산경찰서는 이 상경의 `육군 전환 신청' 사건이 파장을 일으킨 직후 부대원들로부터 `소원수리'를 받아 이 상경을 근무태만, 명령불이행 등의 이유로 영창 15일 징계하고 성추행 혐의로 구속영장까지 신청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 상경의 군복무 전환을 돕고 있는 `전의경제 폐지를 위한 연대'는 이에 대해 "정확한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용산서를 방문했지만 면회를 거부당했다"며 "계속 꼬투리를 잡아 여러 가지 징계를 내린 뒤 불명예 전역을 시키려고 하는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비난했다.
국가인권위원회도 최근 이 상경을 직접 만나 인권 침해 및 보복성 징계 여부에 대해 면밀하게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상경은 9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오늘 오후 1시께 부대 중대장으로부터 2개월 간 외박과 외출, 면회, 인터넷 사용을 금지한다는 제재 내용을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이 상경은 "중대장은 제재의 이유에 대해 내가 성추행 혐의 형사사건에 계류 중이고 영창징계전력이 있다고 설명했지만 부당하다고 판단해 부당명령거부서를 제출했다"며 "부대장은 `언론에 알려 문제를 일으킬 경우 전화사용도 금지하겠다'고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이 상경은 부대의 이같은 제재 조치에 대해 "최근 어청수 경찰청장, 한진희 서울경찰청장, 부대 중대장 등을 명예훼손 및 감금행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며 경찰의 보복제재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제4기동대 관계자는 "부대 중대장으로부터 `하도 골치가 아프니까 외부와 차단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특히 이 상경은 영창 징계를 받고 자대로 복귀한 8일 오후 10시30분께 부대 내 선임병으로부터 폭행당해 안경이 부러지고 얼굴에 멍이 드는 상처까지 입었다고 털어놨다.
가해자는 이 상경의 `육군 복무 전환' 사건이 파장을 일으킨 뒤 부대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소원수리' 과정에서 "이 상경이 근무를 태만히 했다"고 주장한 선임병으로 이 상경이 "계속 거짓말하면 위증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고 항의하자 홧김에 때린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용산서는 가해 선임병을 불러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해당 전경부대와 이들을 지휘하는 용산경찰서는 이 상경의 `육군 전환 신청' 사건이 파장을 일으킨 직후 부대원들로부터 `소원수리'를 받아 이 상경을 근무태만, 명령불이행 등의 이유로 영창 15일 징계하고 성추행 혐의로 구속영장까지 신청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 상경의 군복무 전환을 돕고 있는 `전의경제 폐지를 위한 연대'는 이에 대해 "정확한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용산서를 방문했지만 면회를 거부당했다"며 "계속 꼬투리를 잡아 여러 가지 징계를 내린 뒤 불명예 전역을 시키려고 하는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비난했다.
국가인권위원회도 최근 이 상경을 직접 만나 인권 침해 및 보복성 징계 여부에 대해 면밀하게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