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대운하 재추진' 놓고 정면충돌
당 지도부-박근혜계 "불가" vs 이명박계-이재오계 "찬성"
임태희 "대운하? 이미 정리된 문제"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4일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이 연일 한반도대운하 재추진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것과 관련, "이 문제는 이미 정리가 된 사안"이라며 대운하 재추진 가능성을 일축했다.
임 의장은 이 날 불교방송 '유용화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한 뒤, "장관도 이것은 정리를 해야 될 문제"라고 정 장관을 꾸짖었다.
그는 "물류를 본래 목적으로 하고 있는 대운하는 사실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며 "정 장관이 한 얘기는 아마 일부 지역에서 지방자치단체들이 필요하다, 경인지역, 영산강, 낙동강, 해당지역 지자체에서 대개 이런 필요성에 대해 많이 제기들 하고 있어 그런 지적들을 염두에 둔 바가 아니겠느냐"고 덧붙였다. 하천 정화사업 정도는 몰라도 대운하는 안된다는 분명한 메시지.
이같은 당 지도부 입장에 대해 지난해 경선때부터 대운하에 강력 반대해온 박근혜계 등 상당수 의원들은 동조하고 있다. 박근혜계의 한 의원은 "이래서 국민들이 이명박 정부를 믿지 않는 것"이라며 "국민들의 반대가 거셀 때는 안할 것처럼 하다가, 틈만 나면 다시 하려 하니 민심이 되돌아올 리가 있냐"고 반발했다.
이명박계-이재오계 "대운하 해야"
그러나 이명박계 생각은 다르다. 극한 침체에 빠진 지방건설 경기 부양 차원에서라도 대운하를 재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을 공공연히 펴고 있다.
이명박계 초선 김영우 의원은 3일 저녁 CBS라디오 '시사자키 고성국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작년에는 대선 캠페인 기간이라는 제한된 시간이었기 때문에 아무래도 운하에 관련된 객관적인 정보를 가지고 홍보하거나 토론할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고, 정권이 출범한 이후에서 촛불정국이라든가 여의치 않은 상황 때문에 객관적으로 운하를 바라보거나 토론할 수 있는 여건이 없었다"며 "전문가들이 자유롭게 검토할 수 있는 과정이 앞서는 게 좋으며, 자연스럽게 공론화가 이뤄질 거라고 생각한다"고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이명박계 김성태 의원도 4일 SBS 라디오 '김민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국민들하고 충분한 대화와 논의 구조 없이 사실상 야당의 정책에 대한 공격을 먼저 받았다"며 "그런 공격을 받은 측면에서 한나라당은 한반도 대운하 정책에 대해 우리 국민들에게 있는 그대로 토론하고 또 앞으로 이 문제를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 그러니까 정치적인 측면에서의 집권당의 역할이 없었다"며 대운하 재논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26일 이재오계인 공성진 최고위원은 연일 이재오 전의원이 미국에서 한반도대운하 재추진 입장을 밝히는 것과 관련, “운하도 긍정적인 측면이 많이 있지 않겠냐”며 “(대운하는) 수로 일종의 하천 정비 사업이고 그걸 통해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많고 지금 당장 건설경기를 비롯한 모든 경기가 침체되어 있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도 돼야하고, 그래서 우리가 국가차원에서 국민적 역량을 결집시킬 국가 프로젝트가 있어야 한다”며 경기부양 차원에서 대운하를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명박계와 비이명박계가 대운하를 놓고 또다시 갈등을 표출하기 시작한 양상으로, 오는 9일 '국민과의 대화'때 이명박 대통령이 어떤 입장을 표명할 지에 벌써부터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