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조영주 전 KTF사장 돈, 정치권으로 안 흘러가"
조영주 "24억 모두 개인 용도로 사용"
KTF의 납품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윤갑근 부장검사)는 6일 "조영주 전 사장이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리베이트 자금이 정치권에 흘러들어간 흔적은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검찰은 조 씨가 B사 등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24억원이 정치권에 제공됐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돈의 용처를 집중 추적해 왔다.
조 씨는 검찰에서 B사로부터 차명계좌를 통해 받은 7억4천만원은 처남들의 병원 운영비와 전세자금 보조 등에 사용했고 수표로 받은 10억원도 개인적인 용도로 투자하는 데 썼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조 씨가 돈을 누군가에게 투자했다고 해명하는데 과연 이것을 조 씨의 말대로 투자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며 "현재로선 조 씨의 주장이 허위라고 볼만한 단서는 없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검찰은 KTF가 수도권과 호남지역의 대리점에 지급하는 휴대전화 보조금 등을 빼돌려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관련 마케팅본부 등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진행해 왔지만 현재로선 비자금이 조성된 사실을 발견하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조 씨를 구속수사할 수 있는 2차 시한이 끝남에 따라 이번 주중 조 씨와 B사 대표 전모 씨를 배임수재 및 배임증재 등 혐의로 구속기소할 예정이다.
검찰은 조 씨가 B사 등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24억원이 정치권에 제공됐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돈의 용처를 집중 추적해 왔다.
조 씨는 검찰에서 B사로부터 차명계좌를 통해 받은 7억4천만원은 처남들의 병원 운영비와 전세자금 보조 등에 사용했고 수표로 받은 10억원도 개인적인 용도로 투자하는 데 썼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조 씨가 돈을 누군가에게 투자했다고 해명하는데 과연 이것을 조 씨의 말대로 투자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며 "현재로선 조 씨의 주장이 허위라고 볼만한 단서는 없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검찰은 KTF가 수도권과 호남지역의 대리점에 지급하는 휴대전화 보조금 등을 빼돌려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관련 마케팅본부 등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진행해 왔지만 현재로선 비자금이 조성된 사실을 발견하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조 씨를 구속수사할 수 있는 2차 시한이 끝남에 따라 이번 주중 조 씨와 B사 대표 전모 씨를 배임수재 및 배임증재 등 혐의로 구속기소할 예정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