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한나라당 첫 최고위원회의 '불참'
이명박계 조직적 반발인가, 보수세력 분열 가능성도
지난 11일 전당대회를 통해 새롭게 출발하게 된 한나라당 지도부의 모양새가 예사롭지 않다. 강재섭 대표에게 석패한 이재오 의원이 선출후 처음 열린 최고위원회 회의에 불참하는 등 이명박계가 강력 반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강재섭 신임대표는 12일 오전 처음으로 주재한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가 전당대회를 계기로 심기일전해서 새로운 한나라당의 모습을 보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분열보다 화합, 단합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대표는 이어 "우리가 절대 서로 자극하고 비난하는 일 없이 통합적으로 서로 사랑하고 격려해서 단합하는 정당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언론이 전당대회의 후유증이 있을 것처럼 쓰고 있는데 절대로 걱정할 필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전여옥 최고위원도 "전당대회 과정에서 대리전 양상 등이 나왔는데 여기 있는 분들은 이제 국민의 대리인으로 일해야 한다는 것을 뼛속 깊이 알고 있다"며 "그동안 치열하게 싸웠기 때문에 애정으로 감싸안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단합' 주장에도 불구하고 2위로 최고위원직에 당선된 이재오 의원의 모습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찾아볼 길 없었다.
새롭게 구성된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날 오전 국립현충원을 참배했지만 이 자리에도 이재오 의원은 없었다. 이와 함께 이재오 의원측은 현재 연락조차 닿지 않고 있다. 친박(親朴)진영의 '화합' 메시지에도 불구, 심각한 후유증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이재오 의원은 지난 11일 전당대회에서 자신의 패배를 확인한 후 매우 격앙된 목소리로 "한나라당에 더 이상 색깔론이나 대리전 등의 구태정치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온몸을 바치겠다"며 "한나라당이 새로 태어나지 못하고 내부분열을 조장하는 대리전 등으로 당으로 쪼개려고 하면 온몸으로 이 당을 지키겠다"고 성토하기도 했다.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시장의 '대리전' 양상을 보인 한나라당 전당대회가 벌써부터 두 유력 대권후보간 감정싸움으로 치닫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 메이저 보수신문이 마치 이명박 전 시장의 탈당을 부추기는 듯한 보도를 보여, 보수진영내 분열이 시작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낳고 있다.
강재섭 신임대표는 12일 오전 처음으로 주재한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가 전당대회를 계기로 심기일전해서 새로운 한나라당의 모습을 보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분열보다 화합, 단합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대표는 이어 "우리가 절대 서로 자극하고 비난하는 일 없이 통합적으로 서로 사랑하고 격려해서 단합하는 정당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언론이 전당대회의 후유증이 있을 것처럼 쓰고 있는데 절대로 걱정할 필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전여옥 최고위원도 "전당대회 과정에서 대리전 양상 등이 나왔는데 여기 있는 분들은 이제 국민의 대리인으로 일해야 한다는 것을 뼛속 깊이 알고 있다"며 "그동안 치열하게 싸웠기 때문에 애정으로 감싸안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단합' 주장에도 불구하고 2위로 최고위원직에 당선된 이재오 의원의 모습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찾아볼 길 없었다.
새롭게 구성된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날 오전 국립현충원을 참배했지만 이 자리에도 이재오 의원은 없었다. 이와 함께 이재오 의원측은 현재 연락조차 닿지 않고 있다. 친박(親朴)진영의 '화합' 메시지에도 불구, 심각한 후유증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이재오 의원은 지난 11일 전당대회에서 자신의 패배를 확인한 후 매우 격앙된 목소리로 "한나라당에 더 이상 색깔론이나 대리전 등의 구태정치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온몸을 바치겠다"며 "한나라당이 새로 태어나지 못하고 내부분열을 조장하는 대리전 등으로 당으로 쪼개려고 하면 온몸으로 이 당을 지키겠다"고 성토하기도 했다.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시장의 '대리전' 양상을 보인 한나라당 전당대회가 벌써부터 두 유력 대권후보간 감정싸움으로 치닫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 메이저 보수신문이 마치 이명박 전 시장의 탈당을 부추기는 듯한 보도를 보여, 보수진영내 분열이 시작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낳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